매일신문

국민 73.1% '이태원 참사는 정부 책임'…尹 지지율 31.9%

56.8% 이상민 물러나야

윤석열 대통령이 4일 오전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를 방문, 추모글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4일 오전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를 방문, 추모글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 10명 중 7명 이상이 '이태원 압사 참사' 책임이 정부에 있다고 답했다.

4일 뉴스토마토 의뢰로 미디어토마토가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73.1%는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정부와 지자체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절반 이상인 53.0%는 책임이 '매우 크다'고 했고, '책임이 있는 편이다'는 응답이 20.1%를 기록했다.

응답자의 23.3%는 이태원 참사를 정부 책임과는 거리를 뒀다. '책임이 없는 편이다'는 응답이 18.6%, '책임이 전혀 없다'는 4.7%였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3.6%였다.

연령별로 보면, 희생자가 다수 발생한 2030 세대에서는 정부의 책임을 묻는 비율이 다소 낮았다.

20대는 책임 있다 66.2% 대 책임 없다 29.4%, 30대는 책임 있다 69.8% 대 책임 없다 27.7%로 조사됐다.

40대는 책임 있다 80.5% 대 책임 없다 16.9%, 50대에서는 책임 있다 76.1% 대 책임 없다 22.1%였다.

60대 이상에서도 책임 있다 72.2% 대 책임 없다 22.4%였다.

지역별로는 서울은 책임 있다 71.1% 대 책임 없다 25.6%, 경기·인천은 책임 있다 73.7% 대 책임 없다 22.7%, 대전·충청·세종은 책임 있다 70.4% 대 책임 없다 27.3%, 강원·제주 책임 있다 74.6% 대 책임 없다 21.0%로, 70% 이상이 정부 책임을 물었다.

광주·전라는 책임 있다 82.7% 대 책임 없다 16.4%, 영남에서도 부산·울산·경남(PK) 책임 있다 72.4% 대 책임 없다 21.3%, 대구·경북(TK) 책임 있다 68.9% 대 책임 없다 27.6%로 집계됐다.

정치성향별로는 중도층의 경우 책임 있다 73.4% 대 책임 없다 21.7%였으며, 진보층에서는 책임 있다 92.2% 대 책임 없다 7.3%였다.

보수층에서도 책임 있다 52.7% 대 책임 없다 41.8%로, 정부 책임을 묻는 비중이 절반 이상이었다.

지지 정당별로는 민주당 지지층에서 책임 있다 96.7% 대 책임 없다 2.8%로 압도적인 결과를 보였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책임 있다 42.9% 대 책임 없다 50.2%였다.

'경찰·소방 인력을 미리 배치해서 해결될 수 있는 문제는 아니었다'는 발언으로 논란이 됐던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절반을 훌쩍 넘어섰다.

이 장관 논란에 대한 수습 방향으로 전체 응답자의 56.8%가 '이 장관이 책임지고 물러나야 한다'고 답했다.

'이 장관이 사과 수준에서 마무리 지어야 한다'는 대답은 24.0%로 뒤를 이었다. '사과하거나 물러날 일이 아니다'는 의견은 16.7%, 이외 '잘 모르겠다'는 2.5%였다.

연령별로 보면, 모든 세대에서 이 장관의 사퇴를 가장 높은 비율로 택했다. 20대 '물러나야' 51.3% 대 '사과로 마무리해야' 24.3% 대 '사과하거나 물러날 일 아니다' 22.5%, 30대 '물러나야' 55.0% 대 '사과로 마무리해야' 22.3% 대 '사과하거나 물러날 일 아니다' 19.9%였다.

40대와 50대의 경우 60% 이상이 이 장관의 사퇴를 촉구했다. 40대 '물러나야' 68.0% 대 '사과로 마무리해야' 19.7% 대 '사과하거나 물러날 일 아니다' 10.8%, 50대 '물러나야' 63.7% 대 '사과로 마무리해야' 21.0% 대 '사과하거나 물러날 일 아니다' 14.5%였다.

반면 60대 이상에서는 '물러나야 한다'는 응답이 49.3%로 가장 높았지만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60대 이상 '물러나야' 49.3% 대 '사과 수준에서 마무리해야' 29.1% 대 '사과하거나 물러날 일 아니다' 17.0%였다.

지역별로도 모든 지역에서 절반 이상이 이 장관이 물러나야 한다고 답했다. 보수진영의 기반인 영남에서도 이 장관의 사퇴 요구가 50%를 넘겼다. 대구·경북(TK)에서는 물러나야 51.3% 대 사과로 마무리해야 27.2% 대 사과하거나 물러날 일 아니다 19.2%, 부산·울산·경남(PK)은 물러나야 53.4% 대 사과로 마무리해야 23.8% 대 사과하거나 물러날 일 아니다 20.5%로 조사됐다.

서울은 물러나야 52.9% 대 사과로 마무리해야 27.8% 대 사과하거나 물러날 일 아니다 15.6%, 경기·인천은 물러나야 58.6% 대 사과로 마무리해야 23.1% 대 사과하거나 물러날 일 아니다 16.0%, 대전·충청·세종은 물러나야 54.1% 대 사과로 마무리해야 28.6% 대 사과하거나 물러날 일 아니다 16.8%, 광주·전라는 물러나야 67.6% 대 사과하거나 물러날 일 아니다 14.5% 대 사과로 마무리해야 14.1%, 강원·제주는 물러나야 65.9% 대 사과로 마무리해야 18.1% 대 사과하거나 물러날 일 아니다 13.8%로 나타났다.

정치성향별로는 중도층에서 물러나야 54.8% 대 사과로 마무리해야 28.9% 대 사과하거나 물러날 일 아니다 14.0%, 진보층에서는 물러나야 83.2% 대 사과로 마무리해야 9.6% 대 사과하거나 물러날 일 아니다 5.5%였다. 반면 보수층에서는 사과로 마무리해야 한다는 응답이 34.4%로 가장 높았다. 이어 사과하거나 물러날 일 아니다 31.3%, 물러나야 한다 30.6%였다.

지지 정당별로도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사과로 마무리해야 한다는 응답이 45.1%로 가장 높았다. 이어 사과하거나 물러날 일 아니다 35.0%, 물러나야 16.3% 순이었다.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물러나야 88.7% 대 사과로 마무리해야 7.8% 대 사과하거나 물러날 일 아니다 2.8%로, 이 장관의 사퇴를 촉구하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은 지난주 대비 0.2%포인트(p) 소폭 하락한 31.9를 기록해 4주째 30%대 초반에 머물렀다.

'매우 잘하고 있다' 11.8%, '대체로 잘하고 있다' 20.1%였다.

부정평가도 지난주보다 0.6%p 떨어져 64.7%로 집계됐다.

'매우 잘못하고 있다'는 55.3%, '대체로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9.5%였다.

특히 국민 절반이 넘는 55.3%는 '매우 잘못하고 있다'고 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3.4%였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31일~이달 2일 사흘 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72명을 대상으로 ARS(RDD) 무선전화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0%포인트다. 표본조사 완료 수는 1천72명이며, 응답률은 4.7%다.

8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를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산출했고, 셀가중을 적용했다. 그 밖의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