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미국가산업단지 내 SK실트론은 해외 기후변화 위험까지 고려해 국내외 공급망을 분석한 TCFD(기후변화 관련 글로벌 재무정보 공개협의체) 보고서를 첫 발간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S&P(Standard & Poors) 글로벌의 시나리오 기반 분석 모델을 업계 최초로 적용해 위기 요인에 따른 재무 영향을 분석한 결과도 포함시켰다.
탄소 규제정책 강화로 인해 가중될 탄소 비용과 기후 변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장기적인 자산 손실 영향 등을 S&P 글로벌이 제시한 시나리오에 따라 분석한 것이다.
SK실트론 전 사업장과 자회사인 미국 SK실트론CSS, 주요 공급망까지를 대상으로 S&P 글로벌의 시나리오에 따라 기후변화가 비즈니스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해 분석했다.
또 TCFD 프레임에 기반해 40개의 기후변화 관련 위기∙기회 요인들이 회사에 미칠 단기·중기·장기적 영향을 모두 평가하고 이 중 중대 위기 요인과 주요 기회 요인을 도출했다.
SK실트론은 기후변화에 따른 중대 위기 요인으로 ▷사업장 온실가스 규제 강화에 따른 탄소 비용 부담 가중 ▷탄소가격 상승으로 인한 원부자재 조달 가격 상승 ▷발전부문 에너지 전환에 따른 전력가격 상승 등을 꼽았다.
주요 기회 요인으로는 ▷차세대 전력반도체용 웨이퍼 시장 진출 ▷저탄소 제품 혁신을 통한 친환경 고객 요구 대응 ▷재생에너지 전환을 통한 비용 절감 등이 있었다.
SK실트론은 TCFD 프레임과 S&P 글로벌의 분석 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위기 요인 극복을 위한 대응 전략을 수립했다.
4대 전략은 ▷사업장 온실가스 배출량 넷 제로 추진 ▷주요 공급망 탄소비용 리스크 관리 ▷재생에너지 전환을 통한 사업장 운영 혁신 ▷저탄소 제품·솔루션을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마련 등이다.
SK실트론 관계자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4대 중점 전략을 적극 추진하고 관련 주요 지표를 지속 관리해 나갈 것이며, 이번 TCFD 보고서 내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불확실한 기후변화 속에서도 회복탄력성과 적응력을 높여 지속가능성을 공고히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