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윤석열 대통령의 동남아 순방길 전용기 탑승에 MBC 취재진을 배제시킨 조치에 대해 "국익을 또 다시 훼손하는 일이 발생하면 안 된다는 판단에서 최소한의 취재 편의 제한 조처를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10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MBC의 전용기 탑승 불허 결정을 내린 근거를 묻는 말에 "대통령이 아침에 말씀하신 것처럼 막대한 세금을 들여 전용기를 띄우는 건 중요한 국익이 걸려있는 순방 외교를 위한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관계자는 "저희는 여러 차례 MBC에 가짜뉴스, 허위 보도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면서 "그러나 MBC는 두 달 가까이 팩트체크를 할 수 있고 검증과 개선의 시간이 충분했는데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MBC가) 개선의 의지가 없는 상황에서 국익을 다시 훼손하는 일이 발생하면 안 된다는 판단에서 최소한의 취재 편의를 제한하는 조치를 취했을 뿐이라는 점을 분명히 말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대통령실 관계자가 언급한 '국익 훼손'은 지난 9월 대통령 미국 순방 당시 뉴욕의 한 행사장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환담을 나눈 뒤 자리를 뜨면서 '이 XX', '바이든'이라는 윤 대통령 발언을 자막과 함께 내보낸 것을 가리킨 것으로 풀이된다.
당시 대통령실은 "바이든이 아닌 '날리면'이라고 돼 있다"고 반박한 바 있다.
아울러 대통령실의 결정이 사실상 취재 제한이 아니냐는 질의에는 "취재 편의 일부를 제공하지 않는 것일 뿐 취재 제한은 아니다. 취재와 관련해 어떤 제한도 한 바 없다"고 했다.
순방 이틀 전인 9일 밤에 이 같은 통보를 한 건 사실상 MBC의 취재를 막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에는 "'갑작스럽게'가 아니라 지금까지 기다린 것"이라며 "(개선을 위한) 충분한 기회를 줬다는 판단 속에서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대통령실을 비판했다고 해서 이런 조치를 한 게 아님을 여러분(기자단)이 더 잘 아실 것이다. 대통령실은 얼마든지 언론의 비판에 대해 듣고 수용할 자세가 돼 있다"면서 "문제는 가짜뉴스"라고 강조했다.
그는 "가짜뉴스가 만연하면 오히려 진실을 보도하려는 언론이 공격·위협받는다. 그래서 많은 민주주의 국가가 가짜뉴스에 강력하게 대응하고 퇴출시키려고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과거 역대정부에서 있었던 취재제한이나 (대통령실) 출입 정지나 기자실 폐쇄와 같은 조치를 취한 게 아니다"며 "모든 취재를 허용하되 막대한 국민 세금이 들어가는 취재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옳냐는 고민 속에서 취한 조치임을 다시 한번 말씀드린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