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윤석열 대통령의 동남아 순방길 전용기 탑승에 MBC 취재진을 배제시킨 조치에 대해 "국익을 또 다시 훼손하는 일이 발생하면 안 된다는 판단에서 최소한의 취재 편의 제한 조처를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10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MBC의 전용기 탑승 불허 결정을 내린 근거를 묻는 말에 "대통령이 아침에 말씀하신 것처럼 막대한 세금을 들여 전용기를 띄우는 건 중요한 국익이 걸려있는 순방 외교를 위한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관계자는 "저희는 여러 차례 MBC에 가짜뉴스, 허위 보도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면서 "그러나 MBC는 두 달 가까이 팩트체크를 할 수 있고 검증과 개선의 시간이 충분했는데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MBC가) 개선의 의지가 없는 상황에서 국익을 다시 훼손하는 일이 발생하면 안 된다는 판단에서 최소한의 취재 편의를 제한하는 조치를 취했을 뿐이라는 점을 분명히 말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대통령실 관계자가 언급한 '국익 훼손'은 지난 9월 대통령 미국 순방 당시 뉴욕의 한 행사장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환담을 나눈 뒤 자리를 뜨면서 '이 XX', '바이든'이라는 윤 대통령 발언을 자막과 함께 내보낸 것을 가리킨 것으로 풀이된다.
당시 대통령실은 "바이든이 아닌 '날리면'이라고 돼 있다"고 반박한 바 있다.
아울러 대통령실의 결정이 사실상 취재 제한이 아니냐는 질의에는 "취재 편의 일부를 제공하지 않는 것일 뿐 취재 제한은 아니다. 취재와 관련해 어떤 제한도 한 바 없다"고 했다.
순방 이틀 전인 9일 밤에 이 같은 통보를 한 건 사실상 MBC의 취재를 막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에는 "'갑작스럽게'가 아니라 지금까지 기다린 것"이라며 "(개선을 위한) 충분한 기회를 줬다는 판단 속에서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대통령실을 비판했다고 해서 이런 조치를 한 게 아님을 여러분(기자단)이 더 잘 아실 것이다. 대통령실은 얼마든지 언론의 비판에 대해 듣고 수용할 자세가 돼 있다"면서 "문제는 가짜뉴스"라고 강조했다.
그는 "가짜뉴스가 만연하면 오히려 진실을 보도하려는 언론이 공격·위협받는다. 그래서 많은 민주주의 국가가 가짜뉴스에 강력하게 대응하고 퇴출시키려고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과거 역대정부에서 있었던 취재제한이나 (대통령실) 출입 정지나 기자실 폐쇄와 같은 조치를 취한 게 아니다"며 "모든 취재를 허용하되 막대한 국민 세금이 들어가는 취재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옳냐는 고민 속에서 취한 조치임을 다시 한번 말씀드린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