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직후 박희영 서울 용산구청장이 유관기관 간 현장 대책회의에 불참한 채 귀가한 정황이 공개됐다.
아울러 이태원 참사 당일 귀갓길에 사건 현장 인근인 '퀴논거리'를 현장점검했다는 최초의 해명을 번복하는 등 행적과 관련한 의혹이 잇따라 불거지고 있다.
10일 용산구와 서울소방재난본부 등에 따르면 박 구청장은 참사 직후 서울소방재난본부가 여러 차례 주재한 상황판단회의에 참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소방재난본부는 참사 발생 직후인 10월29일 오후 11시 44분부터 이튿날 오전 6시 35분까지 6차례 상황판단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는 서울소방재난본부장, 용산소방서장, 서울시 부시장 등이 참여했지만 박 구청장은 한 번도 참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용산구는 박 구청장이 10월29일 오후 10시 59분부터 이튿날 오전 1시 30분까지 현장에서 구조활동을 지휘하고, 이후 구청 상황실에서 재난 대응을 총괄했다고 밝혔지만 정작 관계기관 간 현장 대응 회의에는 참석하지 않은 것이다.
용산구 관계자는 "구청장이 필수 참석 대상은 아니며, 회의에 참석하라는 연락도 받지 못했다"라며 "박 구청장 대신 보건소장이 참석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해명했다.
뿐만 아니라 참사 발생 전 현장 근처인 퀴논길을 둘러보고 별 문제가 없어 귀가했다는 박 구청장의 설명도 사실과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용산구는 이날 해명자료를 내고 현장점검 지점을 당초 밝힌 퀴논길에서 앤틱가구거리로 수정했다.
앤틱가구거리는 퀴논길에서 직선거리로 약 300m 떨어진 곳으로 참사 인근 세계음식문화거리나 퀴논길보다 유동 인구가 적은 편이다.
박 구청장 측은 또 밤 9시쯤 퀴논길에 다시 나와 현장을 둘러봤다는 해명도 사실이 아니라고 정정했다.
즉, 박 구청장은 참사 발생 현장에 밤 10시 59분 처음 도착할 때까지 집 밖으로 나오지 않은 셈이다.
이에 대해 박 구청장 측은 "당시 경황이 없었고 참사 트라우마에 헷갈렸다"며 "평소 동선대로 귀가했다고 생각했고 한 번 더 거리로 나왔다는 건 부정확한 기억이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박 구청장이 소방 대응 최고 수위인 3단계가 발령 중이던 10월30일 새벽 귀가한 정황까지 공개됐다.
이날 공개된 폐쇄회로TV(CCTV) 화면에는 박 구청장이 참사 다음날인 10월30일 오전 5시 38분께 홀로 귀가해 약 3시간 뒤 다시 집을 나선 것으로 보이는 모습이 포착됐다.
당시 용산구 직원 2분의 1 동원령이 내려진 상태였고, 사고 현장에서는 상황판단회의가 이어지고 있었다.
용산구 관계자는 "당시 일정을 확인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