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의성군 주민단체들, '통합신공항 개발행위허가제한 지정 규탄' 성명

"실질적 이주대책, 생계대책부터 우선 마련하라"

통합신공항 개발행위허가제한 지정에 대한 의성 주민단체의 성명서. 의성군 통합신공항 이전지원위 제공
통합신공항 개발행위허가제한 지정에 대한 의성 주민단체의 성명서. 의성군 통합신공항 이전지원위 제공

경북 의성군 주민단체들이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예정지(의성 비안·군위 소보 일대)에 대한 개발행위허가 제한지역 지정을 반대하며 이주대책 사전 수립을 촉구하고 나섰다.

의성군 통합신공항 이전지원위원회와 비안면 통합신공항 이전지원위 및 이주대책위원회는 16일 성명을 내고 "통합신공항 이전지역 주민들에 대한 이주 및 생계 대책 하나 없는 일방적 개발행위허가제한 지정을 반대한다"며 "국방부와 대구시·경북도는 비안면 일대 이주민들에 대한 지원대책부터 우선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또 "대구시 등은 2020년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에 이어 지난 8월 반쪽짜리 군공항 기본계획 발표, 그리고 이번에 개발행위허가제한 지정 추진까지 허울 좋은 비전만 밝혔지 이전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발전방안 및 지원계획은 전무했다"며 "이러한 처사는 삶의 터전을 빼앗기는 이주민들을 우롱하는 처사에 다름 아니다"고 규탄했다.

앞서 경북도는 대구시의 신청으로 지난 4일부터 18일까지 의성군과 군위군에서 통합신공항 이전부지에 대한 개발행위허가 제한지역 지정 관련 주민 열람 공고를 하고 있다. 개발행위허가 제한은 주민 의견 청취 후 경북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및 고시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지난 2020년에는 그해 9월 8일부터 2025년 9월 7일까지 5년간 통합신공항 이전예정지와 인근 지역 63.5㎢에 대해 토지거래허가 구역으로 지정했다.

엄성룡 비안면 이주대책위원회 위원장은 "통합신공항 부지로 수용돼 쫓겨나는 농민들은 인근 땅값이 올라 대토할 농지조차 마땅하지 않아 막막한 현실로 내몰리고 있다"며 "앞으로 이주민들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방안 없이는 어떠한 행정절차에도 협조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