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미술사 정립에 영향을 준 작고작가 10인을 재조명하는 '2022 작고작가전: 고요한 울림'이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리고 있다.
대구 지역을 기반으로 독창적인 예술세계를 구축한 ▷김기동 ▷김수명 ▷문곤 ▷박무웅 ▷박종갑 ▷신석필 ▷이묘춘 ▷이정희 ▷이향미 ▷정일 등 작고작가 10인의 작품 50여 점을 선보인다.
대구문화예술회관 소장작품을 중심으로 1910~1940년대 출생의 작고작가 10인을 통해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등 시대적 혼란과 서양화 도입 후 여러 양식의 과도기 속에서 지역 화단의 다양성을 모색한 작가들을 소개한다.
김수명(1919-1983)은 이인성을 비롯한 대구 서양화가의 향토적 표현기법에 영향을 받았으며, 어려운 시대적 상황을 내면으로 성찰한 작가다. 신석필(1920-2017)은 한국전쟁 이후 대구에 정착해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향수를 단순화된 형태와 분할된 화면으로 표현했다.
국내 대표 수채화가인 이경희(1925-2019)는 속도감 있는 필치와 표현주의적 색채, 대담한 구도를 통해 현장감 넘치는 화면을 담았다. 김기동(1937-?)은 기성 화단의 권위주의에 반대하고 규격화된 조형언어를 거부하며, 박무웅(1945-1997)은 대구 구상미술계에서 시골의 풍물과 인물 등 토속적인 주제를 자신만의 미감으로 향토성 짙게 표현했다.

또한 박종갑(1947-2006)은 대구 미술계에서 본격적으로 추상운동을 확산시킨 '신조회'의 창립 회원으로, 색과 질감을 통해 비구상적인 화면을 구사한 점이 눈에 띈다.
한국 현대미술의 전환점인 '대구현대미술제'를 주최한 작가 중 한 명인 이묘춘(1942-1997)은 여백이 드러난 화면에 실제 파리떼가 앉아 있는 듯한 극사실적이고 세밀한 작업을 했다. 이향미(1948-2007)는 색의 흘림, 반복 등을 통해 색 자체가 가지고 있는 물성을 실험한 작품들을 남겼다.
대구문화예술회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는 작고한 이후 자주 만나볼 수 없었던 작가들도 함께해 의미가 있다"며 "대구미술의 흐름 속에서 기억해야 할 작가들을 되짚어보고, 이들이 남긴 예술적 울림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시는 12월 17일까지 이어지며, 월요일을 제외한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053-606-6139.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국힘 "李정부, 전 국민 현금 살포 위해 국방예산 905억 삭감"
임은정, 첫 출근 "한때 존경했던 검찰 선배가 내란수괴…후배들 참담"
김민석 국무총리 첫 일정 농민단체 면담…오후엔 현충원 참배·국회의장 예방
[사설] 尹 정부 특활비 '0'으로 삭감해 놓고 정권 잡자 복원한다는 몰염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