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통령실 도어스테핑 중단에 여야 공방…홍준표 "잘한 일"

대통령실 "천공과 도어스테핑 중단 연관 짓는 것 무책임한 허위 발언"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출근길 도어스테핑을 중단한 것을 두고 여야 간 공방이 뜨겁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쯤 용산 대통령실 청사 1층에 도착했지만 도어스테핑을 하지 않고 바로 집무실로 향했다.

앞서 대통령실은 이날 윤 대통령 출근 직전 언론 공지를 통해 "이날부터 도어스테핑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며 "최근 발생한 불미스러운 사태와 관련해 근본적인 재발 방지 방안 마련 없이는 지속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이 언급한 불미스러운 사태는 지난 18일 윤 대통령 출근길 도어스테핑 때 발생한 MBC 기자와 대통령실 비서관 간의 충돌이다.

당시 MBC 기자는 'MBC 전용기 탑승 배제'와 관련, "무엇이 악의적이냐"며 집무실로 향하는 윤 대통령에게 따져물었으나 윤 대통령은 그대로 퇴장했고, 직후 비서관과의 언쟁이 벌어졌다.

이후 대통령실은 "이 사안을 매우 심각하게 보고 있다"고 밝힌 데 이어 20일엔 평소 도어스테핑이 진행되던 청사 1층 로비에 나무 합판으로 만든 가림막을 설치하기도 했다.

도어스테핑 재개 여부도 결정된 바가 없다는 입장이다. 대통령실은 "도어스테핑은 국민과의 열린 소통을 위해 마련된 것"이라며 "그 취지를 잘 살릴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된다면 재개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7월 코로나19 재확산과 '이태원 참사' 국가애도기간 때 예고 잠정 중단을 한 적은 있지만 재개를 전제하지 않고, 또 내부 문제로 중단을 공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영태 대통령실 대외협력비서관은 지난 18일 도어스테핑 당시 발생한 불미스러운 일 등 일련의 사태에 대한, 또 도어스테핑 및 그 공간을 책임지는 관리자로서 도의적 책임을 느낀다며 이날 사의를 표명했다.

대통령의 도어스테핑 중단을 두고 야당은 '좀스러운 대응'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안호영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참 권위적인 발상이고 좀스러운 대응"이라며 "불편한 질문을 거부하는 것은 닫힌 불통"이라고 말했다. 박홍근 원내대표도 최고위원 회의에서 "참으로 점입가경"이라며 "무능한 실정의 책임을 언론과 야당 탓으로 돌리는 파렴치한 정치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대통령실이 도어스테핑 장소에 가림막을 설치한 것을 거론하면서 "차라리 땅굴을 파고 드나드십시오"라며 "덩치는 남산만 한데 좁쌀 대통령이라는 조롱이 많다"고 했다. 박찬대 최고위원은 "국민의 귀와 눈을 틀어막으려고 하는 독재적 발상이 아니고서야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박용진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설치한 것은 언론용 가림벽이 아닌 국민을 향한 오만의 벽, 불통의 벽, 옹졸의 벽"이라며 "트럼프 전 미 대통령이 형편없는 언론관으로 유명하지만, 윤석열 대통령 정도는 아니다"고 지적했다.

정의당 이정미 대표는 당 회의에서 "내 말을 듣지 않으면 영원히 소통하지 않겠다는 엄포는 기가 찰 노릇"이라며 "언론과 국민 사이에 벽을 세우려 한다면 대통령은 국민 불신이라는 벽을 마주하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여당은 'MBC가 가짜뉴스를 퍼트렸기 때문'이라며 윤 대통령을 옹호하고 나섰다.

박정하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도어스테핑 잠정 중단은 MBC가 초래한 것"이라며 "MBC는 공영방송이지만 지금까지 일련의 모든 논란에도 사과 한마디조차 없다"고 비판했다.

성일종 정책위의장은 KBS 라디오에서 해당 MBC 기자에 대해 "난동 수준"이라고 비판했고, 김행 비대위원은 CBS 라디오에서 "(기자가) 대통령 등 뒤에 대고 소리를 지르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대통령실의 풍경"이라고 말했다.

김기현 의원은 "일부 함량 미달 언론의 악의적인 난동질"이라며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의 고성 지르기, 슬리퍼 난동으로 대통령과의 소통 창구를 이렇게 배설장처럼 혼탁하게 해 놓고서도 사과도, 문책도, 재발 방지 약속도 하지 않는 것은 자유가 아니라 방종"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권성동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반성과 사과를 해도 모자랄 판에, 도리어 자신에게 무슨 잘못이 있냐며, 운동권 점거 농성에서나 볼 수 있는 '샤우팅'을 했다"고 비난했다.

이와 관련,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때늦은 감은 있지만 참 잘한 결정"이라며 "대통령의 국정 능력에 대한 자신감으로 시작한 것이지만, 파이널 디시전(최종 결정)을 하는 대통령이 매일같이 결론을 미리 발표하는 것은 적절치 못했지요"라고 적었다.

홍 시장은 "국민과 가까워지려는 대통령의 뜻은 모르는 바가 아니지만, 그래도 매일매일 마음 졸이며 바라보는 사람들도 많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면서 "대통령의 말씀은 태산같이 무거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통령실은 이날 오후 언론 공지를 통해 '도어스테핑 중단과 천공과의 관계'를 언급한 장경태 민주당 최고위원의 발언을 반박했다.

대통령실은 "'어제 MBC 스트레이트에서 천공이 도어스테핑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밝힌 내용이 방영되자 도어스테핑을 중단했다'는 장 최고위원의 발언은 무책임한 허위 발언"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유튜브 방송을 하는 특정 개인을 아무런 근거도 없이 '대통령의 멘토로 알려졌다'고 연결짓는 것도 문제일 뿐 아니라, 지난 6월 23일 유튜브 방송을 보고 '도어스테핑'을 중단했다는 것은 명백한 거짓"이라며 "민주당 최고위원이 저급한 네거티브 발언을 계속 이어가는 것에 대해 강력히 유감을 표명한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