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두류 젊음의 거리' 보행자우선 맞나?…3억 쓰고도 '난장판'

불법주차차량이 보행로 점령, 주말 인파 차량과 뒤엉켜 효과 의문
일방통행 지정 및 단속강화 요청에도 “이해관계 복잡, 개선 어려워”

지난 18일 오후 두류 젊음의 거리 보행자 우선도로가 차량으로 붐비고 있다. 불법주차 차량 틈으로 몰린 인파 머리 위로
지난 18일 오후 두류 젊음의 거리 보행자 우선도로가 차량으로 붐비고 있다. 불법주차 차량 틈으로 몰린 인파 머리 위로 '차보다 사람이 먼저, 보행자 우선도로입니다'라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한소연 인턴기자

지난 18일 오후 9시 대구 달서구 '두류 젊음의 거리'. 거리 곳곳은 주말을 앞두고 외출한 인파로 가득했다. 도로는 녹색과 청색으로 칠해져 있었지만 보행자 우선도로라고 생각하기 어려울 정도로 보행 환경은 엉망이었다.

길가 양 옆으로는 불법 주·정차 차량들이 즐비했고, 도로 가운데로 걸어가는 사람들 사이로 택시와 승용차들이 아슬아슬하게 지나갔다. 불법 주차된 차량들과 인파 위에는 '차보다 사람이 먼저, 보행자 우선도로입니다'라는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

보행 환경 개선에 3억원을 투입한 '두류 젊음의 거리'가 사업 성과를 전혀 내지 못하고 있다. 도로가 온통 보행자와 차량들로 뒤섞이는데도 불법 주·정차 단속조차 없어 주말마다 극심한 혼잡을 빚는 형편이다.

두류 젊음의 거리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김모(42) 씨는 "이곳이 보행자 우선도로라는 사실을 아무도 모를 것 같다"며 "차량 통제가 전혀 이뤄지지 않는데 사업 성과가 날 수가 없다"고 쓴 웃음을 지었다. 그가 얘기하는 와중에도 골목으로 드나들던 차량들끼리 시비가 붙으며 가게 안까지 경적 소리로 가득찼다.

대구시가 행정안전부 공모사업으로 추진한 '두류 젊음의 거리 보행 환경 개선 사업'은 달구벌대로340길과 야외음악당로39길 사이 500m 구간이 대상이다. 국·시비 등 3억원을 투입해 고원식 교차로와 과속방지턱, 교차로 알림표시를 설치하고 보행자 우선도로 도색을 하는 게 골자였다.

그러나 이곳 보행자 우선도로는 도색작업만 돼 있을뿐, 인도와 차도를 분리하거나 불법주차를 막을 수 있는 시설물은 전무한 형편이다. 3억원을 투입하고도 실질적인 보행 환경 개선 효과는 전혀 거두지 못한 셈이다.

불법 주·정차를 막고자 상인들이 궁여지책으로 내놓은 불법 적치물은 도로 미관을 해치는 형편이다. 이곳 한 식당 업주 황모(64) 씨는 "무단 주차가 너무 심해 단속을 제대로 하거나 동성로처럼 일방통행으로 지정해달라고 민원을 계속 넣었는데 반응이 없다"고 답답해했다.

도로 및 교통 관리를 맡은 달서구청과 성서경찰서는 마땅한 대책이 없다는 입장이다. 달서구청 관계자는 "인도를 차도와 공간적으로 완전히 구분하기는 힘들고 상가 이용객들의 주차수요가 있어 엄격한 불법 주·정차 단속 역시 어렵다"고 해명했다.

성서경찰서 관계자는 "이 구간은 도로 폭이 충분하고 인근에 주거지역이 혼재해 일방통행 지정에는 무리가 있다. 구청에서 주차 단속을 하는 게 우선"이라고 했다.

두류 젊음의 거리 보행환경 개선사업 계획 평면도. 달서구청 제공
두류 젊음의 거리 보행환경 개선사업 계획 평면도. 달서구청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