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월드컵] 일본의 두 얼굴 '욱일기'…역사적 과오는 언제 정리하나

코스타리카전서 욱일기 펼쳐…경기장 청소 미담 마저 퇴색
이번엔 재빠른 FIFA의 제지 '적절한 조치'

27일(현지시간) 카타르 알라이얀 아흐마드 빈 알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2 카타르 월드컵 조별리그 E조 일본과 코스타리카의 경기. 관중석에서 한 일본 축구 팬이 욱일기를 펼친 채 응원하고 있다. 연합뉴스
27일(현지시간) 카타르 알라이얀 아흐마드 빈 알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2 카타르 월드컵 조별리그 E조 일본과 코스타리카의 경기. 관중석에서 한 일본 축구 팬이 욱일기를 펼친 채 응원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번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도 어김없이 일본의 '이중성'이 드러났다.

월드컵이나 올림픽과 같은 국제대회에서 일본은 관중석 쓰레기를 깔끔히 치우고 선수들 역시 라커룸을 청소하고 깨끗한 '뒷정리'로 미담을 남기는 모습 뒤에 전범기인 욱일기를 내걸어 논란을 야기하는 '두 얼굴'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스포츠 경기 후 뒷자리는 깔끔히 정리할 지 몰라도 자신들의 역사적 과오에 대해서는 제대로 정리하지 못하는 모양새다.

일본은 27일 카타르 알라이얀에 위치한 아흐마드 빈 알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2 국제축구연맹(FIFA) 카타르 월드컵 조별리그 E조 2차전에서 여지없이 욱일기를 경기장에 들고 들어왔다.

욱일기는 일본이 19세기 말부터 태평양전쟁 등 아시아 침략 전쟁을 펼칠 때 사용한 군대의 깃발로 군국주의와 제국주의를 상징하는 전범기다.

유럽인들이 세계 2차대전의 주범 나치의 하켄크로이츠를 철저히 금지하듯 과거 일본에 침략당한 아픈 역사가 있는 한국과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 역시 욱일기에 대한 반감이 심하다.

이날 코스타리카전에서 일부 일본 팬은 욱일기를 들고 응원하는가 하면 경기장에 욱일기를 걸려고 했다. 다행히 안전요원에 의해 즉시 제지를 당해 관중석에 욱일기가 내걸리는 일은 없었다.

28일 욱일기 퇴치 운동을 펼치는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자신의 SNS에 코스타리카전 욱일기 응원에 대해 "경기장 안전요원이 곧장 출동해 제지했다. 적절한 조치였다"며 "이는 FIFA가 드디어 욱일기 응원을 공식적으로 제지한 것이라 아주 큰 의미가 있다"는 글을 게재하기도 했다.

이번 코스타리카전에서 패배한 뒤에도 일본 관중들은 자신의 자리를 청소하고 경기장을 떠났지만 욱일기의 등장으로 그 의미마저 스스로 퇴색시켜 버렸다.

한편, 다양한 인종과 나라가 참여하는 월드컵인 만큼 경기 외적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이번 월드컵에서도 성소수자 등 소수의 인권차별 반대를 의미하는 무지개색 착용품 금지 논란에 이어 지난 25일 잉글랜드와 미국 간 조별리그 B조 경기 당시 십자군 복장으로 나타난 잉글랜드 팬들의 입장이 제한되기도 했다. 십자군 전쟁은 그리스도교 원정대와 이슬람 세력 간 벌여진 종교전쟁으로 이를 아랍권에선 볼 경우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는 FIFA의 판단에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