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민의힘 차기 전당대회 논의 시작, 게임의 법칙에 손볼까?

당 대표 선출 규칙...당원·일반국민 반영비율 7:3→9:1 변경 가능성
대구·경북 전체당원 수 약61만명...투표권 가진 책임당원 대략 17만명
대구·경북 국회의원 전대 출마자 부재...지역 표심 응집력 하락 우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지난 28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지난 28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차기 전당대회 논의를 시작한 가운데 경선 규칙 변경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당원 투표 비율이 높아질 경우 선거권을 가진 책임 당원의 비중이 높은 대구·경북의 입김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30일 매일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국민의힘 대구·경북 당원 수는 대략 61만명 정도로 추산되는 가운데 대구의 경우 약 23만명, 경북은 약 38만명 정도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 중 책임 당원의 경우 대구·경북을 합치면 대략 17만명 정도로 추산된다.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선거인단으로 등록이 가능한 전체 책임 당원 수가 대략 75-80만명 정도로 추산됨에 따라 대구·경북 당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21-23%정도로 예상된다.

국민의힘 책임당원은 일반당원과 달리 소액의 당비(최소 1천원)을 내야 하고, 당내 대선후보 투표, 당 대표 투표 등에 선거인단으로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다.

따라서 현행 당 대표 선출 규칙인 당원 투표 70%, 일반 국민 여론조사 30%를 각각 90%, 10%로 변경할 경우 책임 당원 비중이 높은 대구·경북 지역 영향력이 확대되는 것은 기정사실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각에서는 전당대회 규칙 개정으로 당원 수에 따라 대구·경북 영향력이 강해진다 하더라도 정작 지역 출신 당권주자가 없어서 오히려 지역표심 응집력은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21대 국회 기준 국민의힘 전체 의석 수 115석(지역구 93명, 비례 22명) 가운데 대구·경북 지역구 국회의원은 25명(대구12명, 경북 13명)이지만 현재까지 차기 전당대회 도전 의사를 밝힌 의원은 없다.

한편 지역 정가에서는 책임 당원의 비중이 높은 상황임에도 그동안 당 대표 경선에서 대구·경북지역 영향력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만큼 당 대표 선출 규칙 변경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매일신문과 통화에서 "전당대회 반영 비율을 9:1로 바꾼다고 해도 크게 무리는 없을 것 같다. 국민 여론도 중요하지만 일단 당 대표는 당원의 선택을 받아야 한다"며 "책임 당원이 많은 대구·경북 영향력이 커지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수도권 기반 후보들이 불리할 수도 있지만 기존에도 당원이 많은 지역이었기 때문에 특별히 문제가 될 것 같진 않다"고 설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