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경련 조사서 "고물가·소득 감소로 내년 가계 소비 2.4% 감소" 결과 나와

전경련 설문, 응답자 56%가 소비지출 축소 계획
축소 이유는 물가 상승, 실직·소득 감소 우려 등

'의식주'의 한 축을 차지하는 의류 물가가 지난달 10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11월 의류·신발 소비자물가지수는 107.33(2020년=100)으로 작년 같은 달 보다 5.5% 상승했다. 상승폭은 2012년 6월(5.6%) 이후 10년 5개월 만에 가장 컸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한 의류상가 모습. 연합뉴스

내년 가계 소비는 고물가와 경기 침체 탓에 올해보다 줄어들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2023년 국민 소비지출 계획' 조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지난달 11~18일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천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내년 가계 소비 지출은 올해와 비교해 평균 2.4% 감소할 전망이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6.2%가 내년 소비지출을 올해보다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소득이 낮을수록 경기 침체에 따른 소득 감소 영향을 많이 받는 탓에 소비 여력도 그에 비례해 줄어든다는 게 전경련 측 설명이다.

실제 소득분위별로 보면 상위 20%인 소득 5분위만 소비 지출이 증가(0.8%)할 것으로 조사됐다. 나머지 소득 1~4분위(하위 80%)는 모두 소비 지출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소득 1분위는 6.5%, 2분위는 3.1%, 3분위는 2.0%, 4분위는 0.8% 소비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 지출을 축소하는 주요 이유로 가장 많이 꼽은 것은 '물가 상승(43.9%)'. 이어 ▷실직·소득 감소 우려(13.5%) ▷세금·공과금 부담(10.4%) ▷채무 상환 부담(10.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행·외식·숙박(21.0%) ▷내구재(15.4%) ▷여가·문화생활(15.0%) 등에서 소비를 줄이겠다는 응답자들이 많았다.

내년 소비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 요인으로는 '물가 상승세 지속(46.0%)'을 꼽은 이들이 가장 많았다. 그 외에는 ▷금리 인상(27.0%) ▷세금·공과금 부담 증가(11.9%) ▷부동산·주식 등 자산시장 위축(8.9%) 등을 많이 꼽았다. 또 응답자 중 65.3%는 물가와 채무 상황 등을 고려할 때 내년에 계획한 소비를 이행하는 데 소비 여력이 부족하다고 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내년에 1%대의 저성장이 현실화하면 가계 소비가 악화할 우려가 있다. 일자리 유지·창출 여력을 확충해 민간 소비의 핵심인 가계 소득을 보전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