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가계 소비는 고물가와 경기 침체 탓에 올해보다 줄어들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2023년 국민 소비지출 계획' 조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지난달 11~18일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천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내년 가계 소비 지출은 올해와 비교해 평균 2.4% 감소할 전망이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6.2%가 내년 소비지출을 올해보다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소득이 낮을수록 경기 침체에 따른 소득 감소 영향을 많이 받는 탓에 소비 여력도 그에 비례해 줄어든다는 게 전경련 측 설명이다.
실제 소득분위별로 보면 상위 20%인 소득 5분위만 소비 지출이 증가(0.8%)할 것으로 조사됐다. 나머지 소득 1~4분위(하위 80%)는 모두 소비 지출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소득 1분위는 6.5%, 2분위는 3.1%, 3분위는 2.0%, 4분위는 0.8% 소비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 지출을 축소하는 주요 이유로 가장 많이 꼽은 것은 '물가 상승(43.9%)'. 이어 ▷실직·소득 감소 우려(13.5%) ▷세금·공과금 부담(10.4%) ▷채무 상환 부담(10.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행·외식·숙박(21.0%) ▷내구재(15.4%) ▷여가·문화생활(15.0%) 등에서 소비를 줄이겠다는 응답자들이 많았다.
내년 소비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 요인으로는 '물가 상승세 지속(46.0%)'을 꼽은 이들이 가장 많았다. 그 외에는 ▷금리 인상(27.0%) ▷세금·공과금 부담 증가(11.9%) ▷부동산·주식 등 자산시장 위축(8.9%) 등을 많이 꼽았다. 또 응답자 중 65.3%는 물가와 채무 상황 등을 고려할 때 내년에 계획한 소비를 이행하는 데 소비 여력이 부족하다고 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내년에 1%대의 저성장이 현실화하면 가계 소비가 악화할 우려가 있다. 일자리 유지·창출 여력을 확충해 민간 소비의 핵심인 가계 소득을 보전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