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율하 도시첨단산업단지가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업단지(이하 스마트그린 산단)'로 지정됐다.
국투교통부는 지난 7월 지정된 새만금에 이어 대구율하(부지 16만7천92㎡)를 전국 두 번째 스마트그린 산단으로 지정한다고 27일 밝혔다. 스마트그린 산단은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고 재생에너지 공급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인프라를 구축한 산단을 말한다.
스마트그린 산단의 목표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25% 이상 감축하는 것. 산단은 국토 면적의 1.4%를 차지하지만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45%, 미세먼지의 38%, 폐기물의 19%를 배출해 환경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도심 외곽에 대규모로 조성되는 국가산단과 달리 대구율하 도시첨단산업단지(이하 율하 도시산단)는 도심권 첨단단지라는 것이 특징이다. 이곳은 도심권이라는 장점을 살리고 첨단기술을 활용해 근로자와 시민이 공유하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이 마련된다. 스마트 커뮤니티스테이션(로봇카페), 스마트 미디어글라스(전시장), 스마트 디지털미디어윌(캔버스) 등이 설치된다.
산업단지 내 저류지 상부 등에는 태양광(1천213㎾)을 설치하고 다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와 비교해 필요한 면적이 작은 연료전지(2.64㎿)도 설치한다. 또 신재생에너지의 불규칙한 발전량을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하는 스마트그리드를 깐다.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열섬현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도로에 고정식 살수장치를 설치해 재활용수와 기타용수를 뿌리는 클린로드시스템을 도입한다. 스마트버스정류장, 스마트횡단보도, 전기차 충전기, 돌발상황 감시, 교통정보 제공 등 스마트 교통·안전 인프라도 구축된다.
도시 물순환 회복, 도시침수 방지를 위해 투수성포장, 식생수로, 빗물정원 등 저영향개발 기법을 도입하고 산업단지 근거리인 금호강과의 연결로 조성, 금호강 조망축 확보, 스마트가든, 입체적 녹화 등 근로자 휴식을 위한 공원·녹지도 계획하고 있다.
율하 도시산단은 2023년 단지 조성 후 2026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단지 및 운영체계가 구축될 예정이다. 사업 시행은 한국토지주택공사와 대구도시개발공사가 맡았다. 국토부는 올해 새만금과 대구 율하 스마트그린 산단 사업시행자에게 기본·실시설계비 5억원과 2026년 완공 때까지 스마트·에너지 기반 시설 등 사업비 202억원을 지원한다.
이종화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전통적인 산단 개발 방식에서 탈피해 기업 혁신과 환경을 함께 고려하는 방식을 도입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향후 율하 도시산단이 스마트그린산단의 선도모델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