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겸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장이 16일 브리핑에서 실내 마스크 조치 완화 시기가 멀지 않았다고 전망했다.
정 위원장은 이날 "최근 들어 눈에 띄게 유행 추세가 완화되고 있다"며 "설 전에 어떤 정책을 발표하든 설 이후에 분명한 시기를 못 박든 간에 이미 조정 시기는 거의 다 됐다"고 밝혔다.
방역 당국에 따르면 지난 1주일(8~14일) 간 확진자 수는 30만 명으로, 2주 전 확진자(41만 명)에 비해 약 27% 감소했다. 이 기간 주간 사망자는 400명에서 356명으로 약 11%,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는 530명에서 440명으로 약 17% 줄었다.
정 단장이 위원장인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는 17일 회의를 열고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방안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그는 "'마스크를 다 벗는다'고 생각을 많이 해온 게 사실이며, 그때가 그렇게 멀지는 않았다"며 "실내 마스크 의무를 해제하면 유행이 어느 정도는 늘겠지만, 전체적인 조치를 다시 바꿀 정도로 늘지는 않을 것"이라며 "위험 요소 중 국내 요인은 거의 없다고 보이며, 앞으로 200만~300만 명이 더 걸리면 이번 유행이 끝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16일 기준 동절기 개량백신 접종률은 고령층 33.9%, 감염취약시설 이용자 및 종사자 60.5%다.
정부가 실내 마스크 완화 조치를 위해 제시한 4개 지표 중 고령층 목표 접종률(50%)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특히 65세 이상의 예방 접종률은 40%를 넘었지만, 60∼64세의 예방접종률은 65세 이상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19%에 불과하다.
정 위원장은 "향후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조정할 경우 고위험군은 현재보다 조금 더 많은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며 "고령층, 특히 60대 초반, 면역저하자, 감염취약시설 이용자 및 종사자, 만성질환 보유자들은 한시라도 빨리 개량백신을 접종해 면역력을 갖추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냐"는 조국에 "이래서 사면 안돼" 우재준 비판
조국 "내가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나"…국힘 "그럼 은퇴해라"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