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경제성장 둔화로 성장률 1%포인트(p) 하락하면 한국 성장률도 0.2%p 동반 하락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29일 유엔 산하 기구들이 발표한 '2023 세계 경제 상황과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유엔 경제사회처(UN DESA)는 중국 성장률이 1%p 하락하면 한국은 0.2%p 중반대의 성장률 감소를 할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 경제 예측 모델을 근거로 한 이 보고서는 동아시아·동남아시아 14개국(홍콩·대만 포함)의 성장률을 0.06∼0.41%p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국가별로는 싱가포르와 베트남이 0.4%p대, 캄보디아·홍콩·브루나이가 0.3%p대로 추정했다. 대만과 몽골, 한국도 0.2%p대 감소, 라오스·미얀마·말레이시아·필리핀·태국도 0.1%p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보고서에서는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포기와 부동산 경기 부양책에 따라 올해는 기본 4.8%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성장률은 3.0%이다.
한국은 2.0%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됐다. 일본을 제외한 동아시아·동남아시아 개발도상국들은 전체적으로 4.4% 성장할 것으로 추정됐다.

그러나 중국과 세계 경제시장의 불확실성은 여전하며, 회복 여건은 여전히 취약하다는 평가도 나왔다. 특히 중국 성장률이 기대에 못 미칠 경우 이 지역 전체의 성장률도 전망치보다 낮아질 수 있다고 판단했다. 그러면서도 무역과 금융 관계에 있어 중국의 경제의 회복이 이 지역 전체의 성장을 뒷받침한다고 평가했다.
중국 부동산 경기가 안정화하면 건설 원자재를 수출하는 국가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중국인들에 대한 해외 관광 재개로 관광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에겐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 전망 에서다.
한국은 지난해 대중 수출(1천558억1천만달러)이 4.4% 감소했지만, 수입(1천545억6천만달러)은 11.5% 증가했다. 이에 중국과의 무역수지가 악화하고 있지만, 올해 들어 중국이 경제활동에 본격적으로 나서면 수혜국으로 떠오를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