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교육청, 직업계고 고교학점제 내실화 나서

경북 55개 대상학교… 특성화고 48곳, 산업수요맞춤형고 5곳 등
경북만의 특성사업 추진… 직업교육 캐릭터 '굿자비', 포털 '굿잡' 운영

경북도교육청이 제작한 경북만의 직업교육 캐릭터인
경북도교육청이 제작한 경북만의 직업교육 캐릭터인 '굿자비'의 모습. 굿자비는 직업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 등에 활용되고 있다. 경북교육청 제공

경북도교육청은 올해 직업계고 고교학점제 사업계획 수립과 예산확보를 통해 학점제 정책 내실화에 나섰다고 29일 밝혔다.

직업계고 학점제는 2025년 추진되는 일반고 고교학점제 도입에 앞서 단계적으로 시행하는 사업이다. 2020년 마이스터고에서 시작해, 지난해부터 특성화고(직업계고)를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다.

경북지역 직업계고 대상학교는 총 55곳으로, 특성화고 48곳과 산업수요맞춤형고 5곳 등이다.

경북교육청은 직업계고 학점제 내실화를 위해 ▷학점제 선도학교 운영 ▷학교 밖 교육과정 운영 ▷공동교육과정 운영 ▷학생성장경로 모음집 발간 및 배포 ▷직업계고 포털 '굿잡' 개설 ▷직업교육 캐릭터 '굿자비' 제작 및 홍보 ▷경북형 공동실습소 운영 등 경북의 여건과 학교의 특성을 반영한 정책을 추진한다.

경북도교육청이 직업계고 고교학점제 내실화 정책의 일환으로 운영하고 있는 직업계꼬 포털사이트인 굿잡의 메인 화면 모습. 경북교육청 제공
경북도교육청이 직업계고 고교학점제 내실화 정책의 일환으로 운영하고 있는 직업계꼬 포털사이트인 굿잡의 메인 화면 모습. 경북교육청 제공

특히 학교 밖 교육과정은 직업교육의 현장성을 높이고 학습 선택권을 확대하고자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과 ㈜해태아이스크림, 한국전기안전공사 전기안전교육원 등 7개 기관, 9개 과정을 지정해 학생 200여 명이 방과 후와 방학 중에 과목별 최소 2학점에서 최대 22학점까지 이수할 수 있도록 했다.

학교별 특색있는 교육과정을 반영해 '학생성장경로 모음집'을 제작해 배포하고 있으며, 직업계고 학점제와 직업교육에 대한 정보 제공과 소통 강화를 위한 직업계고 포털 '굿잡'을 운영한다.

임종식 경북도교육감은 "직업계고 고교학점제 내실화를 통해 경북형 10차 산업 미래직업교육 과정을 개발하고 있다"며 "급변하는 미래 산업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행정·재정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