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엑스코선 기본계획 졸속 논란…일조권 영향·차량기지 이전 반발 거세

"설익은 발표로 신뢰도 훼손" 전문가도 비판
대구교통공사 "예타 조사 받지 않는 범위 내 대안 제시할 것"

수성구민 운동장역 인근 엑스코선 조감도. 대구교통공사 제공
수성구민 운동장역 인근 엑스코선 조감도. 대구교통공사 제공

대구교통공사가 2일 북구청 주민설명회를 마지막으로 대구도시철도 엑스코선 공청회와 주민설명회 일정을 모두 마무리한 가운데 엑스코선 기본계획이 졸속으로 수립됐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일조 영향 등 사업 수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제시되지 못했고, 역사 위치에 대한 불만 등 예상할 수 있는 민원에 대해서도 설명이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구교통공사는 2일 오후 북구청에서 열린 주민설명회를 마지막으로 지난달 27일부터 시작된 엑스코선 건설 기본계획을 공론화하는 대면 행사를 마무리했다. 하지만 대구교통공사는 엑스코선 기본계획 발표 내용을 놓고 강한 비판에 직면했다. 소음, 경관 문제는 물론 역사 위치를 두고도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특히 차량 방식이 모노레일에서 AGT로 변경되면서 일조권 침해가 쟁점으로 떠올랐다. 교각 구조물 크기가 훨씬 커졌기 때문이다. 법적으로 2시간의 일조시간을 보장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보상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대구교통공사는 주민설명회 과정에서 "모노레일로 계획한 당시에는 일조 문제 제기가 없었다"며 설득력 있는 판단 근거들을 제시하지 못했다.

대구교통공사가 일조 문제를 '얼렁뚱땅' 넘어가자 전문가들도 아쉽다는 비판을 내놓는다. 황정훈 미래도시교통연구원장은 "대구교통공사가 다소 설익은 발표를 내놓으면서 노선 전반에 대한 신뢰도가 훼손됐다고 볼 수 있다"며 "현재 주민들이 내놓는 의견들 상당수가 타당성이 있다고 보인다. 예상할 수 있는 민원에 대해서도 충분히 검토되지 않은 것 같아 아쉽다"고 했다.

이에 대해 대구교통공사는 향후 있을 전략환경평가에서 일조시간을 검토하고 공청회와 주민설명회 과정에서 나온 지적도 선별적으로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공사 관계자는 "가급적 예비타당성 조사를 다시 받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빠르게 대안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