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李 비서실장 사망 사면초가…민주당 인적쇄신 카드 꺼낼까

국면 전환 위해 당직 개편 앞당길 가능성…다음 달 원내대표 경선 예정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1일 오후 서울시청 광장 동편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1일 오후 서울시청 광장 동편에서 열린 '강제동원 굴욕해법 무효 촉구 2차 범국민대회'에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사법리스크 압박이 점점 커져가는 가운데 경기도지사 시절 초대 비서실장인 전형수 씨가 사망하면서 사면초가에 빠져들고 있다. 이에 당직 개편 등 인적쇄신을 통한 분위기 전환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여당을 비롯해 당내에서는 전 씨 사망에 따라 이 대표에 대한 비판 여론이 점점 거세지고 있다. 이 대표는 당장 거취 표명보다는 책임을 지고 수습에 총력을 다하겠다는 입장이다.

당 안팎에서는 취임 6개월이 지났고, 최근 사법리스크 압박 등으로 침체된 국면을 타개하기 위해서라도 인적쇄신 차원에서 당직 개편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당직 개편 등 국면 전환을 통해 위기를 벗어나야 한다는 논리다.

지도부는 일단 부인했다. 임오경 민주당 대변인은 12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당직 개편 가능성에 대해 "외부에서 계속 말들이 나오는데 전혀 논의된 바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정치권에서는 다음 달 예정된 차기 원내대표 경선에 맞춰 일부 당직 개편은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있다. 더욱이 악재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분위기 쇄신 차원에서 당직 개편 시기를 당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최근에는 비명계가 그간 주요 당직에서 배제됐다는 점을 들어 총선 공천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사무총장직을 요구했다는 설이 흘러나오기도 했다.

친이재명계는 이 대표가 위기인 상황에서 자리를 요구하는 것에 불만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또 비명계의 요구가 차기 공천을 염두에 두고 흔드는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인적 개편이 또 다른 내부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박상병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교수는 매일신문과 통화에서 "지금 인적쇄신을 단행하는 것은 큰 실익이 없다. 대변인직이나 위원장, 당무 업무 관련해서 일부 인적쇄신만 가능할 것"이라며 "단기적인 쇄신보다는 큰 틀에서 총선까지 염두에 둔 인적쇄신 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 외부인사 중심으로 친명‧친이 구분이 아닌 법안 발의나 당내 역할로 평가를 해서 내년 공천까지 반영되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