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시의회 유충상(국민의힘, 하망동·영주1·2동) 의원은 20일 열린 제270회 임시회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장마철 전 자연재해 예방 실태를 점검하고, 재해 대응 강화 방안을 마련하라"고 제안했다.
유 의원은 "영주시는 1961년 대홍수를 계기로 시가지가 재정비되었고, 한절마 뒷산을 절개해 물길을 돌리는 직강(直江)공사로 집중호우에 대비한 배수로 정비가 잘 준비됐다. 하지만 2020년 완료된 영주시 제2차 기후변화 적응대책 용역 세부계획(2021~2025)에는 여전히 홍수에 대한 기반시설이 취약하고, 건축물 취약성이 높게 평가됐다"며 "재해 위험지역 정비와 홍수 피해 방지 시설 확충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또 "중앙정부가 만든 일률적인 재난대응 매뉴얼에 의존하는 것은 탁상공론에 불과하다"면서 "이·통장 및 주민자치위원회 등과 협력한다면 지역 특성에 맞는 상황별·유형별 방재 매뉴얼 작성이 가능하다. 일본은 동네 피난소 운영 매뉴얼 작성에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숙지해 재난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고 미국은 재난안전 매뉴얼을 마을단위 재난안전 네트워크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영주시도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도를 기반으로 한 민·관 협력 지역별 대응 매뉴얼을 재정비하고 재난대응 매뉴얼도 상황별·유형별로 구분해서 지역 특성에 맞게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재 매뉴얼로 재정비한다면 효과는 배가 될 것이다"며 "영주시는 하루속히 지하공간 침수 피해 방지를 위한 차수판 설치와 용·배수로, 하수 시설물 및 하천의 준설 작업, 사물인터넷(IoT) 및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첨단 재해 대응 시스템 등을 구축해야 된다"고 덧붙였다.
유충상 의원은 "재난은 가장 가난한 곳부터 찾아와 약자에게 더욱 가혹하게 다가온다"며 "침수 위험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등 안전 취약지역 발굴을 위한 적극적인 실태조사와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지원으로 재해 대응력을 높여 달라"고 주문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