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빈 방미] 윤 대통령 "미국 과학기술 역량과 한국 제조생산기술 결합하면 윈-윈"

28일 한-미 클러스터 라운드테이블 참석, 클러스터 혁신 방안 논의

미국을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보스턴의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 클러스터 라운드테이블에서 참석자들 소개에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을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보스턴의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 클러스터 라운드테이블에서 참석자들 소개에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보스턴의 첨단산업 혁신 클러스터와 한국의 첨단산업 클러스터가 긴밀히 협력하고, 이를 토대로 미국의 과학기술 역량과 한국의 제조생산기술 역량이 결합된다면 양국 경제 모두에게 윈-윈의 이익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미국 보스턴에서 개최된 '한-미 클러스터 라운드 테이블'을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이날 행사엔 보스턴에서 활동하고 있는 벤처·스타트업 혁신허브(스타트업 육성기관), 임상·연구 병원, 주요 바이오 기업, 투자자, 법률가 등이 참석, 클러스터 혁신 방안에 대해 윤 대통령과 의견을 주고 받았다.

행사에 참석한 스테판 방셀 모더나 대표는 "바이오 테크의 경우 임상실험 등을 위해 대규모 자금이 필요하다"며 "미국의 대형 금융기관은 자본금의 일부를 바이오 테크에 투자토록 하는 정책 덕분에 충분한 자본조달이 가능했다"고 소개했다고 이도운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레베카 맥닐 변호사는 "새로운 기술에 대해 벤처캐피탈의 투자가 원활히 이뤄지려면 '특허를 통한 독점적 권리 보장, 이를 통한 자금투자, 기업성장'의 선순환 구조 창출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연구성과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위해선 지식재산권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허 공개를 통해 산업 전체가 발전할 수 있고, 특허를 가진 스타트업이 대기업에 기술 매각 등을 통해 기술개발에 대한 성과를 공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에 따르면 김성훈 미국 변호사는 정부가 지재권의 중요성에 대한 기업의 인식이 제고되도록 노력하고, 특히 미국으로 진출하는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이 미국 지재권 제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홍보하고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충고했다.

요하네스 프루에하우프 랩센트럴 대표는 "보스턴 클러스터의 경우 다양한 기업과 인재로부터 나오는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벤처캐피탈, 경영, 법률 기관들과 접목돼 묘목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잘 조성돼 있다"며 "한국도 오늘 MOU를 계기로 이런 강력한 협업체계를 배워나가길 바란다"고 했다.

전문가의 이야기를 들은 윤 대통령은 "보스턴 클러스터의 핵심은 결국 머니플로우(혁신기술에 대한 자본 투자)에 대한 신뢰, 성과물에 대한 공정한 보상체계"라며 "앞으로 관련 제도를 잘 정비하고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