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쓰비시중공업 근로정신대 피해자 양영수 할머니 대구서 별세

근로정신대 피해자 양영수 할머니. 연합뉴스
근로정신대 피해자 양영수 할머니. 연합뉴스

근로정신대 피해자인 양영수 할머니가 노환으로 별세했다.

11일 사단법인 일제강제동언시민모임에 따르면 미쓰비시중공업을 상대로 2차 손해배상 소송 원고로 나섰던 양영수 할머니가 이날 영면했다.

1929년 광주 동구 금동에서 1남1녀 중 막내로 태어난 양영수 할머니는 1944년 3월 광주대성초등학교 졸업 후 그해 5월 미쓰비시중공업 나고야항공기제작소에 동원됐다.

당시 6학년 담임이던 야마모토라는 일본인 선생은 "일본에 가면 돈도 벌고 공부도 공짜로 할 수 있다. 좋은 학교도 갈 수 있다"며 그를 회유했다.

양 할머니의 오빠 역시 징용으로 끌려가 가정 형편은 어려운 상황이었다. 양 할머니는 '내가 일본에 조금이라도 협력하면 집안이 좀 편해지지 않을까'하는 순진한 생각으로 열네살에 일본으로 끌려갔다.

생전 그는 하루 종일 비행기에 들어가는 부속품에 국방생 페인트 칠을 했는데 겨울이면 손이 깨질 것 같았고, 손이 시렵고 추워서 홀딱 홀딱 뛸 정도였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그러면서 "고향 부모님한테 편지도 했지만 부모님 근심할까봐 '여기는 좋고, 편안하게 잘 있다'고 할 수밖에 없었다"며 "특히 편지 내용을 사무실에서 모두 조사하기 때문에 쓰고 싶은 말을 쓸 수도 없었다"고 증언했다.

해방되자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위안부'로 오인하던 곱지 않은 사회적 시선 때문에 일본에 다녀왔다는 얘기는 전혀 꺼내지 못했다.

수십년이 지난 2014년 2월27일 미쓰비시중공업을 상대로 한 두번째 소송 원고로 참여했다. 그는 2018년 12월5일 광주고등법원에서 1억원을 배상받을 수 있게 승소했지만 미쓰비시중공업 측의 상고로 마지막 대법원 판결 소식을 기다리던 중이었다.

유족으로는 1녀가 있으며, 빈소는 대구기독병원장례식장이다. 발인은 오는 13일, 장지는 대구 명복공원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