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야, 코인 전수조사 공감대 형성…진상조사‧윤리위 선결 변수

여야 대표, 서로 코인 보유 여부 비판…국회의원 전수조사 주장
국민의힘 "김남국 의원 코인 논란…윤리위 조사 이후 전수조사 결정"
민주당 "국회의원 전원 전수조사 즉각 해야…여당이 원하는 방식 수용"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와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4일 국회에서 열린 어린이 안전 헌장 선포식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와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4일 국회에서 열린 어린이 안전 헌장 선포식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회의원을 상대로 '코인 보유 전수조사' 필요성에 여야 지도부가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실현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다만 전수 조사 진행 순서 및 방식을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15일 김남국 의원의 과거 부동산 관련 발언을 인용해 "전수조사를 통해서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투기 박사들이 더 있는지도 확인해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이재명 대표 본인이 권력형 부정부패 혐의로 검찰과 법정을 오가는 신세인지라 김 의원에 대한 사퇴 요구를 주저하는 것은 아닌가"라며 "이 대표 자신도 김 의원 코치에 따라 코인 투기했던 적이 있었기 때문은 아닌지 궁금하다"고 꼬집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제가 보기에는 김기현 대표나 그 측근들이 좀 많이 갖고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며 "민주당이 제안한 대로 여야 의원들 전수조사를 즉각 실시하기를 요청드린다"고 받아쳤다.

여야는 전수조사 필요성에는 공감대를 보였지만 여당은 김 의원의 진상조사가 끝난 이후에 전수조사를 해도 늦지 않다는 입장이다.

장동혁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진상조사 결과를 보고 위법이나 부적절 사례가 나오면 그 이후에 전수조사를 결정해도 된다"고 했다.

반면 민주당은 즉각적인 전수조사를 주장했다. 국민의힘이 원하는 조사 방법도 수용하겠다는 입장이다.

강선우 민주당 대변인은 "(국민의힘) 지도부와 소속 의원 모두 민주당이 제안한 '코인 보유 전수조사'에 응하라"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LH 부동산 투기 사태 때는 국민 권익위원회가 의원 전수조사를 담당했으나 이번 코인 사태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주장도 나온다. 가상자산 거래소만이 아니라 개별 전자지갑으로 거래할 수도 있고, 시스템도 아직 안 갖춰진 상황에서 권익위가 부동산이나 증권처럼 조사할 수 없다는 것이다.

국회 정무위 소속 한 의원은 "우리나라 가상자산거래소만 26곳이다. 해외 거래소도 있다. 국내만 확인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며 "행안위에서 만들고 있는 공직자 가상자산 등록법이 통과되면 실질적인 전수조사나 동일한 효과를 낼 것"이라고 부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