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청년층의 취업고민이 깊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숫자도 부족할 뿐 아니라 질도 나빠지고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지난달 주 40시간 이상 근무한 청년층 취업자가 급감했다.
국회 입법조사처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4월 청년층 (15~29세) '풀타임 취업자'는 363만 5천652명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월(375만 4천789명)보다 11만 9천137명 감소했다.
'풀타임취업자'는 전일제환산(FTE)을 적용한 고용지표다. 주 40시간 일한 것을 '취업자 1 명분'으로 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이용하는 통계다 .
예를 들면 20시간 일하면 0.5명 , 80시간 일하면 2명으로 산출하는 식이다. FTE 방식은 고용의 질을 판단할 때 유용하다.
청년층 풀타임 취업자는 지난해 8월(-2만 2천 152명) 이후 9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하고 있다.
아울러 청년층의 '상용직 근로자'도 감소하고 있다. 4월 전체 상용근로자(1천610만 5천명)는 전년 동월 대비 46만 4천명 증가했다 .
하지만 청년층 상용근로자는 248만 1천696명으로 오히려 전년 동월 대비 5만 6천766명 줄었다. 지난 3월(-4만 4천546명)보다 감소폭은 더 커졌다 .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고용 한파로 청년 취업자가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고용의 질까지 무너지고 있다" 며 "정부는 '제발 좀 살려 달라'는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