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데이터 선도도시 도약 첫 발 '데이터 재단 추진위' 운영 들어가

15일 오전 대구 그랜드 호텔에서 열린
15일 오전 대구 그랜드 호텔에서 열린 '데이터 중심도시 대구 컨퍼런스'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대구시는 15일 대구컨벤션뷰로·대구디지털혁신진흥원(DIP)와 함께 데이터 경제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2023 데이터 중심도시 대구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행사에서는 데이터를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한편, ICT 산업의 주요 축이자 대구시가 육성하는 ABB(인공지능·빅데이터·블록체인)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한성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ICT 전략연구소장은 "데이터 시장, 인력규모 등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데이터는 가치평가, 가격형성이 어려워 시장 실패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도 높아 적절한 대응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구경북권에서는 산업구조 및 수요를 파악하고 특화된 거점을 형성하는 전략이 바람직하다. 지역 내 주력 산업과 연계를 통해 기술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수성알파시티 입주 기업인 아이엠씨 전채남 대표는 "스마트시티 사업을 진행했던 대구는 이미 많은 양의 데이터가 축적돼 있다. 결국엔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중요한데, 수요 발굴이 선행돼야 한다. 시민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해 맞춤형 서비스를 마련해야 한다. 더 나아가 디지털플랫폼 정부 시범도시로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제안하고 싶다"고 했다.

특히 이날 데이터재단 설립추진위원회가 발대식을 갖고 지역 데이터 허브 구축에 첫 발을 뗐다. 대구경북 IT 기업으로 구성된 대경ICT산업협회가 위원회에 참여하며 데이터 표준 수립, 데이터 거래 환경 조성, 데이터분석 서비스개발 등을 추진하고 연 내 데이터재단을 출범할 계획이다.

박윤하 대경ICT산업협회장은 "4차산업혁명시대 데이터는 자원이다. 펜대믹으로 경제가 위기를 맞았지만 ICT기술은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했다. 데이터산업 인프라 조성을 통해 불확실성과 한계를 극복하고 대구가 한 단계 도약할 수 있을 거라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