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3명 중 2명이 가장 스트레스를 느끼는 대상으로 학생이나 교장이 아닌 학부모를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스로를 감정노동자라고 인식한 비율은 99%로 절대 다수를 차지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이하 교총)은 지난 25, 26일 전국 유·초·중·고 교원 3만2천9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교권 침해 인식 및 대책 마련 교원 긴급 설문조사'를 27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는 유·초·중·고 교사를 비롯해 교장과 교감도 참여했다.
교사들은 '가장 스트레스를 느끼는 주요 대상'으로 학부모(66.1%)를 꼽았다. '학생'이라고 응답한 교사는 전체의 25.3%로 뒤를 이었다. '교장, 교감'이라고 응답한 교원은 2.9%, '교육행정기관, 국회 등' 2.5%, '동료교사'라는 응답은 1.2%였다.
스트레스를 받는 원인으로는 '생활지도'(46.5%)가 가장 컸다. '민원'(32.3%), '아동학대 신고 두려움'(14.6%)이 뒤를 이었다.
대부분의 교사는 자신을 감정노동자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생님은 감정근로자다'라고 인식하는 정도에 대해 '동의'하거나 '매우 동의'한다고 답한 교사는 전체 응답자의 99%에 달했다.
또 응답 교사의 93.4%는 '교육부가 마련 중인 생활지도 고시 내용에 교사가 구체적으로 학생 문제행동을 지도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자 "찬성한다"고 답했다.
이 외에 93.3%가 "아동학대 신고만으로 교사를 분리 조치, 직위해제 처분하는 절차가 개선돼야 한다"고 답하기도 했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학생이나 경계성 장애학생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냐는 질문에는 교사 54.5%가 '매우 많았다'고 답했고, 32.3%는 '많다'고 답해 현장의 어려움을 전했다.
한편 교총 2030청년위원회 소속 교사들은 이날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이초등학교 교사 사망 사건과 관련해 "우리는 더 이상 동료 교원을 잃고 싶지 않다"며 "실질적인 교권 회복 대책 마련과 교권 보호 입법에 정부와 국회가 나서달라"고 촉구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