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서이초, 학부모 때문이라는 유언 없는데 호들갑" 카이스트 교수 비판

"모든 직종의 사람들 극단적 선택…다른 경우라는 증거 있냐"

27일 종로구 서울특별시교육청 정문에 서이초등학교 담당교사 A씨를 추모하는 검은 리본이 달려있다. 연합뉴스
27일 종로구 서울특별시교육청 정문에 서이초등학교 담당교사 A씨를 추모하는 검은 리본이 달려있다. 연합뉴스

이병태 카이스트 교수가 최근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교사 극단적 선택 사건의 원인으로 '교권 추락', '학부모 갑질' 등이 지목되는 상황에 대해 "사회적 문제의 원인이 교권의 붕괴 때문인가 하는가 의문이 있다고 주장했다.

특정 학생이나 학부모의 문제라는 억울함을 호소한 유언이 알려지지 않았는데, 여론이 '사회적 폭력의 피해자로 단정하고 있다는 취지다.

이 교수는 지난달 31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만약 교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무도한 태도가 원인이고 이게 사회적 문제라면 우리는 교사들의 자살이 다른 직종보다 높다는 증거가 필요하다. 교사는 더 자살을 많이 하는 위험 직종이라면 이 호들갑이 이해가 된다"면서 전했다.

이 교수는 "모든 직종의 사람들이 자살을 한다. 즉, 직종과 상관없이 사람들은 어떤 심리 상태에 이르면 자살이라는 지극히 예외적인 선택을 한다. 이 사례가 그런 다른 사례와 다른 경우라는 증거가 있냐"며 "내가 한 교사의 안타까운 죽음에 우려하는 이유는 이처럼 개별적이고 개인적인 사안일 수도 있는데, 바로 사회적 폭력의 피해자로 단정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 교수는 "자살이 외부 요인 때문이라면 이것은 자살이 아니라 타살로 봐야 한다. 이런 인과관계를 무시한 피해자 단정은 만약 그것이 원인이 아니라면 우리는 근거도 없이 어느 학생과 그 학부모를 살인자 또는 타인을 자살을 하게 만든 무서운 사람으로 모는 것과 같다"며 "만약 그 학생과 학부모와 갈등이 평상의 범주 내였다면, 교사에게 항의를 했을 학생과 학부모가 억울하게 겪을 정신적 트라우마와 죄의식을 갖고 살게 만드는 가해를 우리가 가하고 있지도 모른다는 것은 고려하고 있냐"고 반문했다.

그는 "교사가 전문직인 것은 해당 교과 과목의 지식의 전문가라는 뜻만은 아니다. 국어 교사, 수학 교사, 영어 교사의 공통점은 교사라는 전문성이다. 교육자는 피교육자의 심리와 행동을 이해하고 다룰 수 있어야 한다"며 "교육은 교과 과정뿐만 아니라 교실에 대한 장악과 피교육자의 심리와 행동에 대한 이해와 지도 능력이 포함돼 있다고 우리는 가정해야 한다. 그 직무 범위는 때로는 감정 조절에 실패하는 학부모를 상대하는 일도 포함된다"고 했다.

이어 "보도에 따르면 자진(自盡)한 교사는 특정 학생이나 학부모의 문제로 죽는다는 억울함을 호소한 유언을 남긴 것이 없다고 하는데, 왜 이런 위험한 단정들을 하냐"며 "캐디의 암 발생률이 같은 나이 대의 비슷한 환경의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다는 증거가 없는 한 세 명의 암 발생을 갖고 골프장 농약 탓이라는 주장을 할 수는 없다. 그 캐디가 담배를 피워서 그런지, 태양에 노출이 심해서 그럴 수도 있고 그저 평균적인 암 발생의 사례들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달 18일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교사 A(24) 씨가 교내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교육계에서는 A씨가 일부 학부모의 악성 민원에 시달렸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