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잇단 흉기 난동에 커지는 불안감…尹 "경찰력 총동원, 초강경 대응“

유사 모방범죄 이어질라… “주변 돌아보고 경계하게 돼”
4일 온라인 쇼핑 검색 키워드 1위 ‘호신용품’
테러 준하는 행위 취급 엄정대처, 관련 모니터링 강화
검찰도 법정 최고형 구형 등 강력처벌 의지 밝혀

3일 오후 5시 59분쯤 경기 성남시 분당구 수인분당선 서현역 인근 AK플라자 분당에서
3일 오후 5시 59분쯤 경기 성남시 분당구 수인분당선 서현역 인근 AK플라자 분당에서 '묻지마 칼부림' 사건이 발생했다. 현장사진. 독자 제공

성남 분당구 주민 A(35) 씨는 지난 3일 퇴근시간대 발생한 서현역 흉기 난동 사건을 보고 가슴을 쓸어내렸다. A씨는 "일상적으로 오가던 장소여서 남의 일 같지 않았다. 똑같은 상황에 노출된다면 누구라도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불안감을 호소했다.

다른 지역 주민들도 심리적으로 위축되는 건 마찬가지다. 대구시민 B(33) 씨는 "길을 걷다가도 주변을 자꾸 살피게 된다. 돌발상황이 벌어지면 대응하기 어려울 것 같아 이어폰 같은 걸 착용하기도 무섭다"고 했다.

서울 신림역, 성남 서현역 등 최근 불특정 다수를 겨냥한 흉기 난동 사건이 잇따르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모습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경찰을 비롯한 정부에 '초강경 대응'을 주문하고 나섰다.

서현역 흉기 난동은 '신림역 칼부림' 사건 충격이 가시기도 전 재발해 충격을 증폭시키고 있다. 약 2주 전인 지난달 21일 서울 신림역 4번 출구 인근 골목에서 20대 남성이 휘두른 흉기에 4명이 죽거나 다쳤는데, 이번에는 그보다 많은 13명이 중상을 입는 등 피해규모도 확대된 것이다. 온라인 상에서도 동요가 이어졌다. 수도권이나 부산 등 각지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서 유사범죄를 예고하는 글이나 유언비어가 퍼지기도 했다.

4일 오전 대구경찰청은 온라인에서 유포되고 있는 '대구 PC 칼부림' 관련 게시글이 사실 무근이라는 설명자료를 내고 부정확한 사실을 유포하면 법률상 처벌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게시글에는 지난 3일 오전 3시쯤 대구 한 PC방 이용객이 말다툼 끝에 종업원을 흉기로 찌르고 도주했다는 내용 담겼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었다.

커지는 불안감은 온라인 쇼핑 통계에도 반영됐다. 4일 네이버 쇼핑 트렌드 차트에 따르면 네이버 쇼핑 검색 키워드 1위는 '호신용품'이었다. 이 밖에 삼단봉, 호신용 스프레이, 전기충격기, 호신용 가스총 등이 상위 5위까지를 휩쓸었다.

휴가 중인 윤석열 대통령까지 '초강경 대응'을 주문하고 나섰다. 윤 대통령은 서현역 사건과 관련해 "국민이 불안하지 않도록 정부는 경찰력을 총동원해 초강경 대응하라"고 4일 지시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윤 대통령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이번 사건은 무고한 시민에 대한 테러"라며 실효적이고 강력한 진압장비 휴대 등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대구경찰청도 4일 '비면식 강력범죄 대응을 위한 대책회의'를 열고 총력대응 방침을 밝혔다. 다중밀집지역에는 경찰력을 집중 배치한다. 온라인 상 이른바 '살인예고' 행위에 대해서는 24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사이버수사대에 전담팀을 둬 즉시 추적·수사하기로 했다. 실제 사건 발생 시에는 테러에 준하는 행위로 보고 관할을 따지지 않고 최인접 순찰차가 출동, 가용 경력을 최대한 동원해 엄정 대처하기로 했다.

검찰 역시 신림역과 서현역 사건 등을 공중에 대한 테러 범죄로 규정하며 반드시 법정 최고형의 처벌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대검은 불특정 다수의 공중 일반에 대한 안전을 침해·위협하는 '공중협박행위'를 테러 차원으로 가중 처벌할 수 있는 법령 개정을 법무부에 건의할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과도한 불안을 진정시킬 수 있는 치안대책과 함께 사회복지 강화 역시 주문하는 모습이다.

박동균 대구시 자치경찰위원회 사무국장은 "경찰은 주요 지역에 대한 순찰을 강화해 시민들이 심리적인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며 "'자포자기'식의 범죄를 막는 사회안전망 강화 작업 역시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