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내년 총선 공천룰 개정 등을 놓고 신구권력 간 충돌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친문(친문재인)계는 친명(친이재명)계에 대한 견제를 펼치면서 반전을 노릴 결정적 시기를 고민하는 눈치다.
9일 민주당에 따르면 김은경 민주당 혁신위원회는 대의원제 수정과 공천룰 개정을 검토하고 있고 10일 최종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혁신안의 내용으로 대의원제 폐지 및 축소 방향이 유력한 가운데, 확정될 경우 대의원 등 지역 조직 기반이 잘 갖춰진 친문 등 비명계에서 반발이 터져 나올 전망이다.
혁신위는 공천룰 개정도 예고했다. 구체적으로 3선 이상 중진 의원에 대한 페널티 등 현역 의원 기득권을 약화시키는 방안 등이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공천룰 개정과 대의원제 수정은 내년 총선과 차기 당권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매우 민감한 문제다.
친명계는 일단 혁신위가 의원 총회 의결로 결정된 사안이므로 발표된 혁신안도 존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당내 기반이 옅고 권리당원 지지층이 많은 친명계는 대의원제 폐지 축소 혹은 선출 방식 변경 등 어떤 식으로 진행되든 나쁘지 않은 카드라는 입장이다.
반면 친문 등 비명계는 친명 성향의 강성 지지층 목소리가 크게 반영된 것으로 보고 반발하고 있다. 차기 전당대회에서 권리 당원의 영향력이 커질 경우 지도부에 친문 등 비명계 입성이 어려워질 전망이다.
공천룰도 다수의 초재선이 중심인 친명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수이고, 다선이 많은 친문 등 비명계가 불리한 만큼 쉽게 받기 어렵다는 의견이 나온다.
아울러 최근 청와대 출신 초선 의원들이 문재인 전 대통령과 만찬을 추진하는 것이 알려지면서 친문계의 세 결집이 본격화된 것이 아니냐는 주장도 제기된다.
정치권에서는 이재명 대표가 사법리스크와 혁신위 논란 등에 따른 당 장악력이 약해질 경우 비명계가 반격을 가할 가능성도 나온다.
민주당 관계자는 "돈 봉투 의혹 수사가 본격화되면서 당내 분위기가 어수선한 건 사실"이라면서도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는 기존부터 있던 만큼 소환 조사를 받아도 당장 리더십에 영향력을 주긴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