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하반기 최저점으로 떨어졌던 대기업 영업이익이 올해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자동차·부품, 조선·기계·설비 업종의 영업이익이 크게 개선됐으며 IT전기전자 업종도 바닥을 다지고 있어 하반기 실적 반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5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가운데 반기보고서를 제출한 305개 기업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은 23조3천404억원이다. 작년 동기 대비 55.5% 감소했으나, 전 분기와 비교하면 6.7% 감소하는 데 그쳤다.
국내 주요 대기업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2분기 52조3천947억원으로 최고치를 찍은 뒤 같은 해 3분기 37조9천211억원, 4분기 11조2천676억원으로 급감했다. 이후 올해 1분기 25조253억원으로 반등했다.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2% 감소한 666조3천610억원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보면 IT전기전자의 영업이익 감소 폭이 가장 컸다. IT전기전자 업종은 지난해 2분기 영업이익 20조6천535억원을 기록했으나, 올해 2분기에는 6천954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했다. 반도체 업황 불황이 지속되면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의 영업이익이 감소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밖에 석유화학(-10조3천238억원·90.0%↓), 운송(-3조2천239억원·67.4%↓), 철강(-8천978억원·51.5%↓) 등 업종의 영업이익 감소 폭도 컸다.
반면 영업이익 증가 폭이 큰 업종은 자동차·부품으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3조3천623억원(52.7%↑) 늘어난 9조7천415억원을 기록했다. 또 조선·기계·설비(1조3천11억원·212.7%↑), 에너지(2천7억원·45.2%↑), 통신(1천604억원·13.7%↑) 등도 영업이익이 개선됐다.
기업별로 보면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감소액이 가장 많았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2분기 14조970억원에서 올해 2분기 6천685억원으로 13조4천285억원(95.3%↓) 급감했다. SK하이닉스는 올 2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동기(4조1천926억원)에 비해 7조747억원 감소해 2조8천821억원의 영업손실을 내고 적자 전환했다.
영업이익 증가액은 현대자동차(1조2천581억원·42.2%↑)가 가장 많았다. 이어 기아(1조1천690억원·52.3%↑), 삼성중공업(3천147억원·흑자전환), LG에너지솔루션(2천650억원·135.5%↑), 현대모비스(2천604억원·64.6%↑) 등이 뒤를 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