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의 정부와 의회 지도자들이 제2차 세계대전 패전일인 15일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신사에 공물료를 봉납하거나 참배하자 우리 정부가 깊은 유감의 뜻을 밝혔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이날 도쿄 지요다구의 야스쿠니신사에 다마구시(玉串·비쭈기나무 가지에 흰 종이를 단 것) 대금을 봉납했다. 사비(私費)로 준비된 봉납은 '자민당 총재 기시다 후미오' 명의로 이뤄졌다.
기시다 총리는 지난 2021년 10월 총리 취임 후 2021년 10월과 작년 4월, 8월, 10월, 올해 4월에 각각 야스쿠니신사에 공물을 봉납했지만 직접 참배한 적은 없다.
다카이치 사나에 경제안보담당상은 지난해에 이어 이날도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했으며 초당파 의원 모임인 '다함께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하는 국회의원 모임' 소속 의원 약 70명도 집단 참배했다. 또한 집권 자민당의 당 4역 중 한 명인 하기우다 고이치 정무조사회장 역시 작년에 이어 야스쿠니 신사를 찾았다.
이에 우리 정부는 실망과 유감의 뜻을 표시했다.
외교부는 이날 대변인 논평을 통해 "정부는 일본의 과거 침략 전쟁을 미화하고 전쟁 범죄자를 합사한 야스쿠니신사에 일본 정부와 의회의 책임 있는 지도자들이 또다시 공물료를 봉납하거나 참배를 되풀이한 데 대해 깊은 실망과 유감을 표 한다"고 밝혔다.
특히 "우리 정부는 일본의 책임 있는 인사들이 역사를 직시하고, 과거사에 대한 겸허한 성찰과 진정한 반성을 행동으로 보여줄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일본 정치 지도자들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와 공물료 봉납은 일제 침략 전쟁을 옹호하는 행위로 해석돼 한국 등 주변국과 갈등을 빚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야스쿠니신사는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에서 벌어진 내전과 일제가 일으킨 수많은 전쟁에서 숨진 246만6천여명의 영령이 잠들어 있다. 이 가운데 90%에 가까운 약 213만3천 위는 태평양전쟁과 연관돼 있다. 극동 국제군사재판(도쿄재판)에 따라 처형된 도조 히데키 전 총리 등 태평양전쟁의 A급 전범 14명도 합사돼 있다.
야스쿠니신사에는 한반도 출신도 2만여명 합사돼 있다. 이들의 합사는 유족 등 한국 측 의향과 무관하게 일방적으로 이뤄졌는데 야스쿠니신사는 당사자나 유족의 합사 취소 요구를 거부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