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달부터 북한이 우리나라를 공식 석상에서 '대한민국'으로 지칭하고 있는 데 대해 조롱의 의미를 담은 선전·선동으로 해석했다. 북한이 완전히 자국 주도적인 통일을 포기하고 사실상의 '2국가론'으로 전환했다고 볼 여지가 낮다고 본 셈이다.
통일부는 17일 북한정세총평을 주제로 한 언론 브리핑에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지난달 10일 담화에서 처음으로 우리나라를 대한민국으로 지칭한 이후 7차례나 대한민국이라는 호칭을 쓴 것과 관련해 이같이 분석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북한이 대한민국을 언급한 것은 존중의 의미가 아니라 조롱의 의미이고 한 단어로 남쪽의 상당한 혼란을 일으켰다는 점에서 가성비가 높은 선전·선동"이라며 "앞으로 계속 쓸지는 지켜볼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남측을 미북 관계에 종속된 대상으로 생각하고 있다. 남북 관계에 얻을 것이 없다고 보고 거리를 두고 있는 것"이라며 "일각에서 주장하는 2국가체제로 가서 북한 주도적 통일을 포기한 것이냐에 대해선 아직 회의적"이라고 했다.
그동안 우리나라를 주로 '남조선'으로 지칭해 온 북한이 호칭을 공식 석상에서 대한민국으로 바꾼 것은 이례적이다.
특히 통일부는 북한이 최근 남북 특수관계를 언급한 빈도가 급격히 줄어든 추세에 주목했다. 통일부에 따르면 김정은 국무위원장 집권 이후 노동신문 보도에서 '조국 통일', '북남 관계' 등이 등장한 횟수는 2018년을 전후로 크게 줄었다. 북한이 '우리민족끼리'를 언급한 횟수는 2012년 558회에서 지속적으로 줄어 올해 한 번도 없었다.
또 북한에서 김 위원장에게 '수령' 호칭을 사용하는 사례가 급증하는 등 우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통일부는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