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북구 대현동 이슬람사원 건립을 두고 건축주와 주민들의 갈등이 계속되는 가운데 유엔 인권위원회가 대한민국 외교부에 오는 9월 말까지 관련 대책을 요구하는 공식 서한을 발송한 것으로 확인됐다. 담당 지자체인 대구 북구청은 2주 넘게 서한 번역에만 몰두하고 있다.
대구시와 북구청 등에 따르면 유엔 인권위 특별보고관 3명은 지난 2일 대한민국 외교부를 통해 대현동 이슬람사원 건립 갈등 국면에서 한국 정부가 취한 조치에 대해 60일 이내 답변을 달라고 요청했다.
이 서한에는 국제인권협약 중 하나인 '시민적·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CCPR)'의 관련 조항을 예로 들며 이슬람사원 건립 갈등에 대한 상당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ICCPR 제18조 1항에는 종교 또는 신념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제21조에는 집단 예배와 예배당 건축에 대한 권리에 대해 명시돼 있다.
유엔 인권위는 종교적 소수자에 대한 차별 선동이 발생할 경우 해당 국가의 책임도 분명히 하고 있다. ICCPR 제19조, 제20조와 2012년에 발표된 '라바트 선언'에 따르면 차별, 적대감 또는 폭력을 선동하는 행위에 대해선 국가가 혐오발언을 분석하고 대응해야 한다.
서한을 받은 외교부는 담당 지자체의 의견을 듣기 위해 이달 초 북구청에 해당 사실을 공유했다. 서한에 대한 정확한 해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북구청은 현재 대구시에 번역을 요청해둔 상태다.
북구청 관계자는 "국제문서다 보니 정확한 번역이 돼야만 구체적인 답변이 가능하다고 판단했고, 이번 주 중으로 회신을 요청한 상황"이라며 "번역본이 나오면 유엔 인권위가 요청한 사항에 대한 답변을 첨부해 외교부에 회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슬람사원 갈등은 지난 2021년 2월부터 본격화됐다. 당시 경북대학교 서문 인근에서 간이 기도원을 운영했던 경북대 무슬림 유학생들은 이슬람사원을 건립하기 위해 인근 부지를 매입하고 북구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아 공사에 돌입했다.
당시 이를 몰랐던 주민들은 북구청에 건립 반대 탄원서를 제출했고 주민들의 요구에 부담을 느낀 북구청은 무력 충돌 등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공사 중지 명령'을 내렸다. 이에 건축주 측은 북구청을 상대로 '공사중지 처분 취소 소송'을 제기했고, 대법원까지 가는 송사 끝에 지난 2022년 최종 승소했다.
이후에도 건축주 측과 주민들 간의 크고 작은 충돌이 계속됐고, 북구청은 경북대 내 사원 건립 등을 추진했지만 모두 수포로 돌아갔다. 현재 대현동에 건립 중인 이슬람사원은 올해 하반기 완공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공정률은 약 80% 정도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