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년이 10년 만에 20%p(포인트) 넘게 줄어들었다. 청년 절반 이상은 결혼을 하더라도 자녀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사회조사로 살펴본 청년의 의식변화'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기준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년은 36.4%로 2012년(56.2%)에 비해 20.1%p 감소했다.
성별로 보면 여자 28.0%, 남자 43.8%로 각각 10년 전보다 각각 18.9%p, 22.3%p 낮아졌다. 연령별로는 19∼24세 34.0%, 25∼29세 36.1%, 30∼34세 39.2% 등의 분포를 보였다. 통상 결혼 적령기로 꼽히는 30대 초반도 결혼에 긍정적인 응답이 40%에 미치지 못했다.
결혼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 결혼자금 부족(33.7%)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결혼 필요성을 못 느낌(17.3%), 출산·양육 부담(11.0%), 고용 상태 불안정(10.2%), 결혼 상대 못 만남(9.7%)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청년 절반 이상은 결혼하더라도 자녀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고 응답했다. 이 비율은 2018년 46.4%에서 지난해 53.5%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이유가 있으면 이혼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는 청년 비중은 24.1%로 10년 전보다 11%p 상승했다. 또 비혼 출산에 동의하는 청년 비중은 10년 전보다 9.8%p 상승해 지난해 39.6%를 기록했다.
국제결혼에 대해서는 청년의 83.3%가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10년 전보다 긍정 비율이 9.5%p 높아졌다.
같은 기간 가족이 부모의 노후를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은 12.6%p 줄어든 20.6%로 나타났다. 60.7%는 가족·사회·정부가 함께 부모님의 노후를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했고, 15.0%는 부모님이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고 봤다.
청년들은 남녀 모두 육아 부담(46.3%)을 여성 취업의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꼽았다. 이어 사회적 편견(18.5%), 불평등한 근로 여건(13.8%) 순이었다. 여성이 출산·자녀 성장과 상관 없이 계속 취업 상태를 유지하기를 원한다고 응답한 청년의 비중은 74%로 10년 전(53.2%)보다 20.8%p 높아졌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감서 뻔뻔한 거짓말 안돼…위증 왜 수사 안하나"
대구시장 후보 지지도, 이진숙 21.2% VS 김부겸 15.6%
"조용히해! 너한텐 해도 돼!" 박지원 반말에 법사위 '아수라장'
AI 시대 에너지 중요한데…'탈원전 2막' 가동, 에너지 대란 오나
3500억 달러 선불 지급, 외환부족 우려에…美 "달러 대신 원화로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