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尹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 왜 '한중일' 아닌 '한일중'?

윤 대통령, 6일 아세안 정상회의서 일본을 앞세워 '한일중'으로 표현
대통령실 관계자 "미국, 일본과 보다 긴밀한 협력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

윤석열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컨벤션 센터(JCC)에서 열린 한·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컨벤션 센터(JCC)에서 열린 한·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정상회의에서 '한일중'이라고 표현한 것과 관련, 대통령실 관계자는 "미국, 일본과 보다 긴밀한 협력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자카르타 한 호텔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이 공식석상에서 동북아 3국을 더 익숙한 '한중일' 대신 '한일중'으로 표현한 건 오늘이 처음인 것 같다'며 의미를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 6월에 발간된 국가안보전략 지침서에 모든 순서가 일본 다음에 중국으로 바뀌어서 프린트해 배포한 바 있다"며 "3자 정상회의 자체만 놓고 본다면 자국을 먼저 놓고 차기 의장국을 그 다음에 놓기 때문에 우리가 의장국으로서 한일중이 자연스러운 표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일반적으로 볼 때도 이 정부 들어서 가치와 자유의 연대를 기초로 해 미국, 일본과 보다 긴밀한 기술, 정보, 안보협력이 현재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그런 관점에서 북미 회담보다도 미북 관계로 부르고 있고 한중일 보다도 한일중으로 부르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11월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렸던 아세안+3 정상회의에선 중국을 일본보다 앞세워 '한중일' 순으로 언급했었다.

윤 대통령은 지난 3월 국무회의에서 처음으로 '한일중'을 언급, 일본을 먼저 앞세운 바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