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통령실 "북한산 무기, 러시아에서 사용되고 있다"

'북한 로켓탄 러시아 공급 여부' 묻는 질문에 "오래전부터 확인해온 사항"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회담을 열고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회담을 열고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러 정상회담에서의 무기 거래 성사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대통령실이 14일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북한산 무기가 러시아에 의해 이미 사용된 사실을 인정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 로켓탄이 러시아에 공급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정보 사항이라 말하기엔 좀 그렇다"면서도 "북한이 제공한 무기의 종류가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러시아에 (의해) 쓰였다는 것은 매우 오래전부터 확인해온 사항"이라고 밝혔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전날 정상회담에 대해선 "(방문이) 현재 진행형으로, 중간에 결과를 단정해 한국 정부가 최종적 평가를 내리기엔 아직 이른 시점"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이 오는 15일부터 이틀 간 러시아 내 다른 두 도시를 방문해 군사 관련 시설을 둘러볼 것으로 알고 있다는 게 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그러면서 "현재의 모든 진행 상황, 앞으로 결과에 대해 주도면밀하게 관찰하고 분석 중에 있다"며 "미국과 일본을 포함한 주요 동맹 우방국들과 함께 취할 수 있는 다자간 조치, 우리가 할 수 있는 개별조치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북러 정상회담으로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지원하지 않겠다는 한국의 기조가 변할 수 있는지 묻는 질문엔 "주변 세력이 어떤 행동을 한다고 해서 하루 이틀 사이에 한국 입장이 돌변해 우리 원칙과 접근법이 바뀌는 것도 정상은 아닐 것"이라고 답했다.

'한중 고위급 간 의사소통' 여부에 대한 물음에 이 관계자는 "한중간 의사소통이 진행되고 있고, 심지어는 한러간 유사한 소통이 이어지고 있다"며 양자 소통에서 제3국의 문제에 판단 근거나 분석을 제시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한편, 윤 대통령이 지난 12일 국무회의에서 '한일중 정상회의'가 대신 '한중일 정상회의'로 언급한 데 대해 이 관계자는 "저도 궁금해서 여쭤봤는데, '앞뒤 맥락이 주로 중국 문제를 이야기하는 단락이었기 때문에 중국을 강조하느라 그랬다'는 답변을 들었다"고 했다.

이어 "윤 대통령께서 '객관적으로 중국과 일본 관계를 이야기할 때는 한일중으로 나도 알고 있고 그렇게 정리하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