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학교시설 가운데 건축한 지 30년 이상돼 노후화한 것의 비율이 37.9%에 달했다. 대구 학교시설 노후화 비율은 이보다 낮았지만 경북 비율은 10%포인트(p) 이상 높아 전국 최상위 수준이었다.
16일 김승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가 제출한 전국 시·도별 학교시설 노후화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국 학교시설 6만5천653동 중 30년 이상 노후한 시설은 2만4천876동으로 37.9%로 집계됐다.
지역별 노후화율은 서울이 52.2%(3천425동)로 가장 높았고 경북이 48.2%(2천727동), 부산이 46.1%(1천473동) 등으로 뒤를 이었다. 서울을 비롯해 9개 시·도 지역 학교시설 노후화율이 전국 평균(37.9%)보다 높았다. 대구 노후화율은 33.2%로 전국 평균 이하였다.
학교시설물의 안전등급을 살펴보면 C등급(보통) 이하가 4천760동으로 7.3%를 차지했다. 대구의 경우 22동으로 1.1%, 경북은 131동으로 2.3%의 비율을 보였다.
김승남 의원은 노후한 학교시설물을 새로 지을 때 목조건축을 적극 검토해봐야 한다는 의견도 내놨다. 기존 철근·콘크리트 방식보다 목재를 활용해 교실을 만들면 탄소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산림청은 '미래학교 목재교실 시범사업'을 통해 관련 업무를 추진하고 있지만 전국 단 2개교에서만 추진된 후 중단됐다.
일본은 2010년부터 '공공 건축물 등에서의 목재의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한 뒤 일본 정부가 정비한 저층 건축물 목조화율이 90.6%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만큼 국내 목조건축, 목재 사용이 활발해졌고 관련 산업도 활성화됐다.
김승남 의원은 "산림청 조사에 따르면 전국 초등학교 교실 13만4천여 개를 목조교실로 개선할 경우 약 126만톤(t)의 탄소를 저장하는 효과가 발생한다"며 "이를 모두 국산 원목으로 사용하면 연평균 국내 원목 소비량의 23%에 해당하는 148만633㎥의 원목이 사용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이들 건강에도 좋고, 탄소배출량도 적은 목조건축시설 활성화를 위해 산림청은 교육청과 협의, 노후 학교시설부터 목조 교실 등으로 전환하는 결정을 끌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