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이철우 도지사가 이끄는 미국 경제사절단이 16일(현지시간) 제인 넬슨(Jane Nelson) 텍사스 주정부 국무장관과 만나 두 지역 간 경제·문화 등 다방면에 걸친 교류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고 한국 기업의 현지 기업 활동에 대해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고 17일 밝혔다.
텍사스주는 최근 주정부 차원에서 낮은 규제·세율, 매력적인 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해 오라클(Oracle), 델(Dell),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 등 미국 기업은 물론 한국의 삼성전자 등 글로벌 IT 기업들의 투자 행렬을 받고 있다.
특히 테슬라의 다섯 번째 기가 팩토리가 오스틴에서 가동을 시작하면서 테슬라와 협업하는 도내 자동차 부품 및 2차전지 소재 기업들의 투자도 예상된다.

이 도지사는 넬슨 장관에게 경북의 원자력에너지 생산능력과 경주 SMR, 울진 수소특구를 비롯한 2차전지·반도체 등 산업 전반에 대한 현황을 소개했다. 글로벌 기후 위기에 대응해 SMR·풍력·수소 등 신재생 에너지산업과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의견도 교환했다.
세계적 방산기업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등이 있는 구미 방산 혁신클러스터를 설명하고 도내 기업들과 텍사스주 사이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 벨(Bell) 헬리콥터 등 방산·항공 기업과의 협력 방안도 논의했다.
양 대표단은 올해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양국 간 전통적 안보동맹을 강화함과 동시에 각종 이벤트를 통한 문화·예술·관광 분야 교류도 확대하기로 했다.

사절단은 이어 오스틴에서 가장 큰 규모의 외국투자기업으로 자리매김한 '삼성 오스틴 반도체 사업장'을 방문하고, 글로벌 기업의 현지 투자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오스틴 사업장은 1997년 삼성의 첫 해외 반도체 생산 라인으로 설립해 세계 최고 수준의 파운드리 기술력을 갖췄으며 글로벌 ICT(정보통신기술) 기업들과의 협업의 장이 되고 있다. 지난해 7월에는 오스틴 현재 공장 인근 테일러시에 추가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주목받았다.
이철우 도지사는 "경북은 방산 혁신 클러스터, 반도체 특화단지를 바탕으로 국가 안보산업과 차세대 성장 동력산업을 주도하고 있다"며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춘 글로벌 기업들과 함께 대한민국 전략·안보 산업이 경북으로부터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 지원과 투자유치에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미국 오스틴에서 임상준 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