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호남 지역주의 깨질까…여야 3개 권역별비례 공감

기존 소선거구제 유지하면서 북부·중부·남부 비례대표제 도입
정개특위 논의, 지도부서 결정…11월 세부 사항까지 조율 목표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오른쪽)가 4일 국회에서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를 예방,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오른쪽)가 4일 국회에서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를 예방,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가 내년 총선 선거제와 관련해 기존 소선거구제를 유지하면서 3개 권역별(북부·중부·남부) 비례대표제 도입에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영‧호남 지역주의가 완화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도입될 경우 영남에서 민주당이, 호남에서 국민의힘이 비례대표를 배출할 수 있어서다.

26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 지도부는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소선거구제 및 3개 권역별 비례제를 간사 합의로 올린 공을 넘겨받은 상태다. 11월 세부사항까지 조율을 마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실제 협상은 다소 지연될 공산도 없지 않다.

정개특위가 권역별 비례제 도입에 공감대를 형성한 배경에는 인구 감소로 지역 의석 수가 줄어드는 탓에 이를 보장하기 위해 기존 직능 대표를 지역 대표로 변경하자는 안에 힘이 실린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권역 분할 숫자를 놓고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권역이 많을 경우 권역당 비례 의석수가 한 두 석에 불과할 수도 있다는 결과가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의석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비례 의석수 자체를 늘려야 하는데 무리수가 있는 만큼 상대적으로 무난한 3개 권역별 비례제를 고를 수밖에 없었다는 설명이다.

다만 정개특위 여야 간사 간에는 3개 권역별로 나누는 것에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됐지만, 당내 의원들은 3개 권역별 비례제에 대해 대부분 공감이나 이해보다는 지도부에 결정을 일임한 분위기다.

정개특위 관계자는 "3개 권역별은 그냥 임의로 나눠본 것이다. 지역의 의석을 살리면서도 인구 비례 3대 1에서 벗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 고민을 했다"며 "인구 비례 문제 때문에 3 대 1에서 벗어나면 위헌 소지도 있는 만큼 일단 3개 권역 정도로 의견을 모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야는 3개 권역별 비례제로 일단 의견을 모은 상태지만 구체적으로 어느 지역을 어떤 권역에 포함시킬지 여부는 정해지지 않았다. 다만 가장 많이 언급되는 안은 수도권, 중부(세종‧대전‧충북‧충남‧대구‧경북‧강원), 남부(부산‧울산‧경남‧전북‧광주‧전남‧제주) 권역이다.

지역정가에서는 여야 지도부의 협상 결과에 따라 내용이 바뀔 가능성이 남아있지만 일단 권역별 비례제 공감대 형성에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권역 등 세부적인 사항은 조율이 남아있지만 대표적인 민주당 험지인 대구경북에서도 지역 출신 비례대표 의원 배출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임미애 민주당 경북도당 위원장은 "(여야가) 권역별 비례제 도입에 합의했다는 것은 바람직하고 긍정적이다. 제도적인 측면에서는 진일보했다"며 "지역주의를 극복하는데 단초를 마련했다는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