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몸에서 전기를 만드는 기술이 실현돼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포스텍(포항공대)신소재공학과·친환경소재대학원 김용태 교수, 신소재공학과 정상문 박사·강승연 석사, 홍익대 신소재공학과 이동욱 교수 연구팀은 체온에서 전기를 생산해 열-전기화학 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 표지 논문에 게재될 예정이다.

사람의 체온이나 폐열(가정이나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지 못한 열 에너지)로 전기를 만드는 '열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에너지 고갈과 기후 위기 등을 해결하는 방안 가운데 하나다.
하지만 전기화학적으로 열을 전기로 바꾸는 이 전지는 에너지 전환 효율이 낮고, 백금 등과 같은 값비싼 금속 촉매가 필요해 상용화에 어려움이 컸다.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철을 기반으로 한 촉매와 과염소산 음이온을 사용했다. 일반적으로 전지 내 전해질의 무질서도가 증가하면 전압이 높아지고, 전류의 양이 많아져 전지 효율이 향상된다.

연구팀은 전해질의 무질서도를 높이는 방식에다 철과 질소, 탄소로 구성된 촉매를 열-전기화학 전지에 적용했다. 값비싼 백금 대신 수소차 연료용 전지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해당 촉매를 열-전기화학 전지에 사용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실험 결과 전지는 기존 대비 2배 이상 높은 에너지 전환 효율을 보였고, 제작단가는 무려 3천분의 1수준으로 줄었다.

포스텍 김용태 교수는 "상대적으로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열-전기화학 전지의 촉매 연구를 통해 시스템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모두 향상시켰다"며 "폐열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정 지지도 48.3%…50%선 '붕괴'
정청래 "국힘, 정상회담 평가절하 이해 안돼…나라 망치라는 건가"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대여 투쟁' 단일대오로 뭉치는 국힘…조경태 포용 가닥(?)
"아빠, 왜 돈 준다는 아저씨 뽑았어요?"…이준석이 올린 동영상 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