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신한울 3·4호기 시공사 현대건설 안돼"…울진 북면 주민들 반대 입장

"과거 지역업체 하도급 배제"…신한울 1·2호기 때 "지역 상생 외면"
한수원에도 상생 반영 강조

한울본부 앞에 신한울 3, 4호기 입찰을 앞두고 지역상생을 촉구하는 북면 주민들의 현수막이 붙어 있다. 이상원 기자
한울본부 앞에 신한울 3, 4호기 입찰을 앞두고 지역상생을 촉구하는 북면 주민들의 현수막이 붙어 있다. 이상원 기자

경북 울진군 북면 주민들이 신한울 3·4호기 건설 시공사 입찰을 앞두고 현대건설의 입찰 참가에 대해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5일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오는 12월 말 신한울 3·4호기 건설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을 계획하고 있다. 전체 공사 금액 11조7천억원 가운데 건설비만 3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사업이다.

이번 입찰에 현대건설, 대우건설, 삼성물산 등 3개 사가 각각 주력 업체로서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가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북면 주민들은 유독 현대건설의 입찰 참가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북면은 국내 최대 원자력발전소가 위치한 지역으로 현재 한울원자력본부 앞과 이 지역 곳곳에 '북면은 현대건설의 입찰 참가를 불허한다', '한수원은 지역업체와 상생하는 시공사를 선정하라', '사회적 책임이 없는 기업체는 지역에서 필요 없다'는 내용의 현수막이 나붙었다.

주민들이 이처럼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는 이유는 앞선 신한울 1·2호기 공사 학습효과 때문이다. 현대건설은 신한울 1·2호기 건설공사를 낙찰받아 시공하는 과정에서 지역과의 상생을 외면했다는 지적이다.

주민들은 "당시 현대건설은 공사기간 동안 지역업체의 하도급 배제와 부실 협력업체의 부도 등으로 지역사회에 큰 손실을 끼치는 등 지역과의 상생에 비협조적이었다"면서 "지역사회를 외면하는 대기업은 이번 공사 입찰에 참가해서는 안된다"고 성토했다.

전호동 북면발전협의회장은 "위험시설을 떠안고 살고 있는 주민들을 위해 대기업이 최소한의 상생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 마땅하다"면서 "한수원이 입찰 평가에서 지역상생 비중을 높여 주민들과 상생하는 대기업의 자세를 보여 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지난 5월 열린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위한 울진군 지역현안 실무협의체에서 23개 지역현안 사업 주민 최종 협의(안) 가운데 '시공사 계약 시 지역업체 활용 제도화 및 계약 이행여부 확인(일자리, 지역장비, 지역기업) 등의 내용이 담겨 있어 이번 입찰 평가에서 한수원이 어떻게 반영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