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기·수도·가스요금 연체 정보 분석해 복지위기가구 발굴 '성과'

대구시 '지역특화형 위기 정보 빅데이터 활용사업'…통계청 우수사례 공모전 '최우수상'
2개월 이상 연체정보 위치기반분석…복지부 자료보다 신속하게 발굴 가능

대구시청 산격청사. 매일신문DB
대구시청 산격청사. 매일신문DB

공공요금 연체 정보를 활용해 위기가구를 발굴하는 대구시의 '지역특화형 위기정보 빅데이터 활용사업'이 통계청이 주관한 지역통계 정책활용 우수사례 공모전 본선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이 사업은 전기, 가스, 수도 등 공공요금을 2개월 이상 연체한 정보를 매달 분석, 위치 기반으로 중복연체자를 찾아낸 뒤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신속히 조사해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공공요금 연체 정보를 확보하고자 시는 지난해 10월 한국전력 대구본부와 대성에너지(주), 상수도사업본부와 '위기정보 빅데이터 공동활용 업무협약'을 체결해 연체 정보를 제공받고 있다.

시는 이 사업을 통해 보건복지부가 단전·단수·단가스 정보를 격월로 보내주는 기존 복지사각지대 발굴사업보다 최소 2개월 이상 신속하게 위기정보를 입수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위치기반으로 실거주자를 찾기 때문에 주민등록 여부와 상관없이 촘촘하고 정확한 복지위기가구 발굴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시는 이 사업을 도입한 지난해 10월부터 올 9월까지 연체 정보 31만9천862건을 분석해 1만2천170건의 복지위기 의심가구를 발굴했다.

또한 현장 조사를 통해 기초생활 368건, 긴급복지 244건, 공공서비스 351건, 민간서비스연계 1천427건의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했다고 설명했다.

정의관 시 보건복지국장은 "앞으로도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발굴 사업을 개발해 더 빨리 복지위기가구를 찾아내고 더 두텁게 지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