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우유 물가 상승 폭 14년 만에 최대…빵 가격 2년 만에 21.6%↑

정부 농식품 28개 품목 지정 전담자 지정 물가 밀착 관리

서울 한 대형마트의 우유 매대. 연합뉴스
서울 한 대형마트의 우유 매대. 연합뉴스

우유, 빵을 비롯한 체감도가 높은 품목의 물가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우유 소비자물가지수는 122.03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3% 올랐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던 지난 2009년 8월(20.8%) 이후 14년 2개월 만의 최고치다.

빵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5.5% 올랐지만 2년 전보다 21.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밀가루 물가는 1년 전 대비 0.2% 내렸으나 2년 전과 비교하면 36.5% 높다. 이미 물가가 오른 상황에 최근 소폭 하락한 것이다.

이밖에 식용유 물가는 1년 전보다 3.6% 오르는 데 그쳤지만 2년 전과 비교하면 47.9%나 높다. 또 설탕은 2년 전인 2021년 10월과 비교해 34.5%나 올랐고 아이스크림은 23.8%, 커피는 23.0% 각각 상승했다.

이외에도 라면 물가는 1년 전 대비 1.5% 하락했지만 2년 전보다 10% 높고 스낵 과자는 1년 전보다 0.9% 내렸지만 2년 전보다 12.7% 상승했다. 라면과 스낵 과자의 경우 정부 압박에 식품기업이 일부 제품 가격을 내리면서 물가가 소폭이나마 내린 것으로 보인다.

외식 부문 품목을 보면 지난달 치킨 물가는 1년 전보다 4.5% 올랐지만 2년 전보다 15.2%나 높다. 햄버거도 1년 전보다 6.8% 올랐지만 2년 전과 비교하면 19.6% 상승한 상태다.

이상 기후로 일부 농축산물 가격도 급등해 장바구니 물가 부담도 커졌다. 지난달 사과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72.4% 급등했으며 생강은 65.4%, 파는 24.6%, 토마토는 22.8% 각각 올랐다. 또 배추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5.1% 하락했지만 2년 전보다 63.5% 높은 상태다. 무도 지난해 같은 달보다 36.2% 떨어졌으나 2년 전보다 39.1% 높다.

정부는 농식품 28개 품목의 물가를 밀착 관리할 방침이다. 이번에 전담자가 지정된 가공식품 9개 품목에는 빵과 우유, 라면, 아이스크림, 밀가루 등이 포함됐다. 최근 이들 품목의 물가 상승률이 둔화세를 보이고 있으나, 물가 부담이 줄어들지 않아 평소 서민들이 많이 찾는 품목을 밀착 관리할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신선 농산물은 원래 품목별 담당자가 있어 매일 체크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가공식품도 마찬가지로 전담자를 지정해 업계와 가격 동향 등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