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군 당국, 강원도 고성의 '원형 보존 GP'부터 복원 추진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 "북한 인권은 대북 정책의 본질"

북한이 9·19 남북군사합의로 파괴하거나 철수한 비무장지대(DMZ) 내 최전방 감시초소(GP) 복원 작업에 들어간 가운데 28일 경기도 연천군에서 DMZ 남방한계선 철책 너머 일대가 적막하다. 남북은 2018년 9·19 남북군사합의를 통해 GP 시범 철수를 이행했으나, 북한은 지난 23일 합의 파기를 선언했다. 연합뉴스
북한이 9·19 남북군사합의로 파괴하거나 철수한 비무장지대(DMZ) 내 최전방 감시초소(GP) 복원 작업에 들어간 가운데 28일 경기도 연천군에서 DMZ 남방한계선 철책 너머 일대가 적막하다. 남북은 2018년 9·19 남북군사합의를 통해 GP 시범 철수를 이행했으나, 북한은 지난 23일 합의 파기를 선언했다. 연합뉴스

우리 군이 북한의 군사분계선 최전방 감시초소(GP) 복원 조치에 대한 대응으로 강원도 고성에 있는 '원형 보존 GP'부터 복원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군 당국은 지난 2018년에 체결된 9·19 군사합의에 따라 인력과 장비 등이 철수했지만 원형 그대로 보존된 고성 '829GP'(옛 369GP)를 최우선적으로 복원할 방침이다. 신속한 복원이 가능한데다 작전상 중요한 동부전선 최동북단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829GP는 북한 GP와의 거리가 580m로 비무장지대 내 모든 남북한의 GP를 통틀어 가장 가까웠다. 북측도 829GP 맞은편에 있는 북한군 철수 GP의 복원 작업을 진행 중이다.

829GP는 1953년 정전협정 체결 후 DMZ 내 남측 지역에 처음으로 설치된 GP다. 2019년에는 문화재청에 의해 문화재(통일역사유물)로도 등록됐다.

남북은 5년 전 군사합의에 따라 비무장지대(DMZ) 내에서 운영 중이던 각각 11개 GP 중 10개를 완전히 파괴했고 1개씩은 병력과 장비는 철수하되 원형은 보존했다.

당시 남북은 비무장지대 내 1㎞ 이내 양측 GP 11곳을 철수 대상으로 선정했으며 철수 절차가 끝나면서 비무장지대 내 GP는 북측이 160여개에서 150여개로, 남측은 60여개에서 50여개로 각각 줄었다.

군 관계자는 "폐쇄한 전체 GP를 대상으로 복원을 준비하고 있다"며 "상대방(북한)이 복원하면 우리도 맞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9·19 군사합의 당시 군이 작전적으로 중요하다는 이유로 폐쇄에 반대했던 GP들이 우선 복원 대상이 될 것으로 예산된다.

한편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29일 국제학술원·연세휴먼리버티센터가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주최한 '북한인권 현인(賢人)그룹 및 디지털자유화 심포지엄' 축사에서 "우리의 대북 정책은 (북한) 인권을 생각하는 대북 정책이 되어야 할 것"이라며 "북한 인권은 대북 정책의 본질"이라고 말했다.

공세 위주의 대북정책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의중으로 풀이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