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북핵 수석대표가 18일 서울에서 3자 협의를 갖고 북한 핵·미사일 도발과 북·러 간 군사협력 등 한반도 정세 평가를 공유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김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정 박 미국 국무부 대북고위관리, 나마즈 히로유키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은 이날 외교부 청사에서 회동했다.
김 본부장은 모두 발언에서 북한이 내부 결속을 위해 긴장을 조성하고 있으며 최근 대남 기구 폐지 계획을 발표하고 한미에 책임을 전가하는 낡은 전술도 고수하고 있다며 "이는 북한판 쇄국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러한 시대착오적 시도는 스스로를 해치는 결과만 초래할 뿐"이라고 강조했다. 정 박 대북고위관리는 "미국은 최근 한국에 대한 북한의 적대적 언사가 증가하고 있는 데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불필요하게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3국은 최선희 북한 외무상의 15∼17일 방러 등 최근 북러 관계 동향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북러 군사협력을 저지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공조를 강화하는 방안도 모색했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최 외무상의 방러를 통해 대러 군사협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북한 답방 논의를 한층 진척시켰을 가능성이 있다. 한미일은 또 불법 사이버 활동, 해외 노동자 파견, 해상 환적 등 북한 정권의 핵·미사일 자금줄을 차단하기 위한 실질적 조치도 논의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정 박 대북고위관리가 미 북핵 수석대표로 한일과 대면 협의에 참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성 김 전 미 대북특별대표가 지난해 말 은퇴한 뒤 부대표이던 정 박이 '대북고위관리'라는 새로운 직함으로 직무를 이어받아 국무부의 대북 정책을 이끌게 됐다.
댓글 많은 뉴스
"TK신공항, 전북 전주에 밀렸다"…국토위 파행, 여야 대치에 '영호남' 소환
헌재, 감사원장·검사 탄핵 '전원일치' 기각…尹 사건 가늠자 될까
구미 '탄반 집회' 뜨거운 열기…전한길 "민주당, 삼족 멸할 범죄 저질러"
계명대에서도 울려펴진 '탄핵 반대' 목소리…"국가 존립 위기 맞았다"
尹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임박…여의도 가득 메운 '탄핵 반대' 목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