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중소기업 2월 경기전망지수 전달 대비 둔화, 2.4p 하락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지역 중소제조업 지난해 12월 평균가동률 전월대비 소폭 상승

대구·경북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SBHI). 중기중앙회 대경본부 제공
대구·경북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SBHI). 중기중앙회 대경본부 제공

대구・경북지역 중소기업 경기전망지수가 한달만에 다시 감소세로 접어들었다.

중소기업중앙회 대구지역본부가 대구·경북지역 중소기업 359개(제조업 187개, 비제조업 172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2월 대구․경북 중소기업 경기전망조사'에서 대구·경북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SBHI)는 72.7로 전월(75.1) 대비 2.4p(포인트) 하락했다.

대구·경북지역 중소기업 SBHI는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감소하다 1월 새해 기대감으로 감소세가 멈췄지만 2월 다시 하락했다.

지역별로는 대구가 72.3으로 전월(75.0)대비 2.7p 하락했고 경북 역시 73.3으로 전월(75.3)대비 2.0p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은 74.6으로 전월(79.9)대비 5.3p 하락했지만 비제조업은 70.6으로 전월(69.9)대비 0.7p 소폭 상승했다.

항목별로는 수출(74.5, 9.9p↓), 생산(76.7, 4.5p↓), 영업이익(70.6, 1.6p↓), 내수판매(73.3, 0.9p↓), 원자재 조달사정(97.1, 0.8p↓), 자금 조달사정(74.9, 0.7p↓) 등 모든 항목이 전월대비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번달 기준 지역중소기업들은 기업경영상 가장 큰 애로요인으로 내수부진(60.4%)을 우선적으로 손 꼽았다. 이어 인건비 상승(52.4%), 고금리(43.2%), 업체간 과당 경쟁(30.6%), 원자재가격 상승(29.8%), 자금조달 곤란(25.1%), 인력확보 곤란(24.2%) 등을 이유로 들었다.

지난해 12월 기준 대구·경북 중소제조업 생산설비 평균가동률은 전국 가동률(72.4%)보다 0.5%p 높은 72.9%로 전월(72.2)대비 0.7%p 상승했다.

한편, SBHI는 100을 기준으로 높으면 경기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업체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하고 낮으면 반대를 뜻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