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청 신도시 주민 10명 중 5명 안동·예천서 전입…인구 유입 방안은

"주거·일자리·복지 등과 연계한 인구 유입 대책 마련"

아파트가 밀집한 경북도청 1단계 신도시 전경. 매일신문 DB
아파트가 밀집한 경북도청 1단계 신도시 전경. 매일신문 DB

9년 차를 맞은 경북도청 신도시(안동시 풍천면·예천군 호명읍) 주민 10명 중 5명은 안동·예천에서 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도시와 인근 경북 북부권 시·군들이 '제로섬 게임'에서 벗어날 인구 유입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6일 경북도에 따르면 경북도청이 이전한 2016년 이후 지난해 연말까지 신도시로 전입한 인구는 총 3만3천10명(누적)이다. 이 가운데 안동과 예천에서 전입한 인구는 각각 1만1천287명(34.2%), 5천732명(17.4%)으로 전체의 51.6%를 차지했다. 또 영주와 문경에서 전입한 인구는 2천292명(8.7%)이었다. 대구경북을 제외한 나머지 시·도에서 전입한 인구는 16.5%(5천461명)에 불과했다.

최근 들어서는 신도시 인구 유입도 정체되고 있다. 2016년 조성 이후 2020년까지 첫 4년 간 평균 70%에 육박했던 인구 증가율이 2021~2023년 최근 3년 간 4%대로 급격하게 주저앉았다.

제로섬 게임에서 벗어나 대구경북을 제외한 나머지 시·도 인구 유입을 늘릴 가장 중요한 열쇠는 단연 '주거공간'과 '일자리'가 꼽힌다.

신도시 이전 초기에는 공무원 이주와 함께 1단계 개발 지구 내에 들어선 공동주택이 젊은층의 유입을 이끌었다. 현재는 2단계 개발 지구 내 3천200여 가구가 넘는 공동주택 분양이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도청 신도시 인구 증가세도 주춤한 상태다.

경북도는 신도시가 오는 2028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 안동 바이오 국가산업단지(풍산면 일원 132만㎡)의 배후 도시로 자리매김한다면 인구 유입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하반기 분양이 예정됐다가 올해 하반기로 미뤄진 2단계 개발지구 내 공동주택의 분양·착공이 최대한 빨리 진행될 수 있도록 건설사들을 계속 설득하고 있다. 국가산단 준공 등으로 일자리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만큼, 대규모 공동 주택 공급이 이뤄지면 신도시 인구 유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분양 일정을 연기한 건설사 3곳을 포함해 올 하반기까지 2단계 개발지구에 분양이 예정된 공동주택은 총 5천632가구 규모다. 공기 등을 고려했을 때 늦어도 올 하반기에는 분양과 착공이 이뤄져야 국가산단 준공 시점에 입주가 가능해진다.

경북도 관계자는 "건설 경기 침체 등 대외 여건이 만만치 않은 상태이지만, 지속적으로 조기 착공을 유도하고 있다"며 "주거·일자리·복지 등과 연계한 인구 유입 대책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