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를 거듭할수록 합계출산율이 저점을 향하는 가운데, 25~39세 사이 젊은 부부 넷 중 하나는 자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 젊은 부부의 무자녀 비율이 사실상 절반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한국노동연구원의 '지난 10년 무자녀 부부의 특성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25~39세 청년층 부부의 무자녀 부부 비율은 27.1%로 집계됐다. 지난 2013년 22.2%보다 4.9%p(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특히, 서울의 경우 무자녀 부부 비율이 45.2%를 기록하며 20% 초반대를 기록한 경기와 강원 등 타지역과 20%p 넘게 차이가 났다.
자녀를 가지지 않는 부부가 늘어난 건 주거 불안정 등 경제적 요건과 맞물려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무자녀 부부의 자가(自家) 보유 비율은 2022년 기준 34.6%로 52%를 기록한 유자녀 부부에 비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노동연구원은 "주거 불안정은 무자녀 부부의 출산 저해 요인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아내의 취업 상태도 자녀 유무에 따라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무자녀 부부는 아내가 취업 상태인 비율이 2013년 53.2%에서 2022년 71%로 올랐지만, 유자녀 부부의 아내 취업 비율은 같은 기간 36.6%에서 40.6%로 소폭 상승에 그쳤다.
이에 보고서는 "직장 업무와 출산·양육 양립의 어려움으로 경제활동을 포기하는 경우가 유자녀 부부에게 많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용기 "내란선동 가짜뉴스 퍼나르면 일반인도 처벌" 국힘 "도련님, 카톡은 찢지 말아주세요"
탄핵 한 달 만에 與 지지율 증가…조급한 野 헛발질에 등 돌린 민심
이재명 "법 집행자들이 법 파괴, 용서 안 돼…채해병 특검법 재추진"
일반인 카톡 검열 논란에 여야 MZ 설전…"공산당식 통제 vs. 불법 방치"
옵티머스 사기 의혹 이혁진, 도피 중 美서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