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산 김창숙은 중국으로 건너가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했다. 독립 자금을 댄 혐의로 1927년 중국 상하이에서 체포되었다. 17살에 심산 김창숙의 며느리가 된 손응교 씨가 결혼할 당시 시아버지는 6년째 옥살이 중이었다. 손 씨의 딸이 어머니의 애달픈 삶이 담긴 밥상을 차린다.
어렵게 가족 면회를 허락 받은 며느리는 폐백 겸 옥바라지 음식으로 도토리묵을 준비했지만 일제 간수들이 묵 속에 밀서라도 넣었을까 봐 쑤셔대어 드시지 못다. 혹독한 옥살이로 몸이 쇠약해져 소화마저 힘든 시아버지를 위해 매일 만들었다는 칼국수. 시아버지의 건강 회복을 위해 삯바느질을 해가며 차려냈다는 육회 등. 시아버지를 잘 지키는 것이 집안과 나라를 위한 길이라 여겼던 손 씨의 밥상이 눈물겹다.
광복군 총사령관 지청천 장군의 후손과 안중근 의사의 여동생으로 고난 속에서 강인한 삶을 살았던 안성녀 씨의 눈물겨운 한 끼는 여전히 후손들의 밥상 위에서 기억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