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을 보유한 상위 1% 가구는 평균 4.7채를 갖고 있으며 이들 주택의 합계금액(공시가격)은 평균 30억원으로 나타났다.
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임광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통계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주택을 소유한 가구 중 자산 가액을 기준으로 백분위 구분했을 때 상위 1%에 해당하는 가구의 자산 가액은 평균 29억4천500만원이었다. 이 금액은 공시가격이어서 실거래가격은 30~40%정도 더 높다.
전체 주택 소유 가구의 평균 자산 가액은 3억1천500만원으로, 상위 1% 가구와 주택자산 차이는 9.3배였다. 주택 자산가액 하위 10% 구간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3천만원이었다. 최상위 1% 가구와의 평균 자산 격차는 무려 98배에 달했다.
상위 1%의 평균 주택자산 가액은 주택가격이 급등하기 시작한 무렵인 2020년 30억8천900만원에서 2021년 34억5천만원으로 급증했다. 2022년에는 29억4천500만원으로 다시 2020년 이전 수준으로 돌아간 흐름을 보였다.
반면 상위 1%가 소유한 주택 수는 평균 4.68채로 전년도의 4.56채보다 다소 증가했다. 특히 상위 1% 주택 소유 가구의 거주지는 서울에 72.3%가 집중됐다. 이어 경기도 거주 비중은 16.9%였으며 부산 2.9%, 인천 1.2%, 대구 1.2% 순으로 집계됐다.
임광현 의원은 "코로나19 종식 이후 가구 간 주택 자산가액의 차이가 다소 줄어드는 흐름이나 소유 주택 수와 수도권 집중도 차이는 더 늘고 있다"며 "가계부채 부담 증가요인을 관리하고 주택자산 격차 완화에 집중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