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탕트(긴장완화 및 평화) 시대의 상징물 파괴!"
북한이 15일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도로 일부 구간을 폭파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힌 가운데 외신도 이 소식을 긴급 뉴스로 타전했다. 특히 외신은 이들 도로가 남북한 '데탕트(긴장완화) 시대'의 상징물이었다고 전하며, 이날 폭파는 북한이 남한과의 단절 의지를 분명히 한 것이라고 짚었다.
AP 통신은 한국이 북한의 수도 평양에 무인기(드론)를 띄웠다는 주장을 둘러싸고 남북 사이 적대감이 고조된 가운데 북한의 도로 폭발이 이뤄졌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 도로를 파괴하는 것은 남한과의 관계를 단절하고, 남한이 북한의 주적임을 공식적으로 굳히는 한편 평화로운 한반도 통일을 추구하려는 북한의 수십 년간 목표를 포기하려는 김정은 지도자의 추진(내용)과 일치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AP는 폭파된 도로들이 남북 평화의 상징이었다고 규정했다. AP는 "2000년대 '데탕트 시대'에 남북한은 무장된 국경을 넘어 두 개의 도로와 두 개의 철로를 다시 연결했다"며 "하지만 이후 남북한이 북핵 문제 등으로 갈등을 빚으면서 이들 도로·철로의 가동은 차례로 중단됐다"고 설명했다.
로이터 통신도 합참을 인용해 북한의 폭파 소식을 긴급 타전하며 이들 도로의 상징성에 주목했다. 로이터는 "국경을 넘어 연결됐던 이 길들은 더 이상 전쟁은 없을 것이며 새로운 평화의 시대가 열렸다고 선언한 2018년 (남북) 정상회담을 포함한 남북의 화해 시기가 남긴 흔적"이라고 전했다.
AFP는 "남북 관계가 수년 만에 최악이 됐다"라고도 평가했다. DPA 통신도 북한의 폭파 소식을 전하며 연합뉴스를 인용해 남북 간 도로 연결은 "한 때 남북 협력의 상징으로 여겨졌다"고 짚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이재명 42% vs. 범보수 41% "한덕수·국힘 승산 있다" [뉴스캐비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