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결혼중개업체의 계약 해지 시 환급 거부, 과다한 위약금 청구 등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 보호를 위해 경상북도와 한국소비자원이 표준약관 준수 여부 이행 조사 등에 나선다.
경북도와 소비자원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접수된 국내 결혼중개업 관련 피해구체 신청은 총 1천188건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특히, 지난해 경북지역은 2022년 대비 45.4%나 피해 구제 신청 건수가 늘었다. 이는 전국 대비 38.1% 높은 수치다.
이 기간 전국적으로 피해구제 신청은 30대의 접수 건수가 505건(42.5%)으로 가장 많았고, 40대(328건, 27.6%), 50대(147건, 12.4%) 등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20대 소비자의 피해 건수는 26건에 불과했지만 전년(11건)에 비해 15건(136.3%)이나 늘었다.
피해 유형은 대부분 계약해제·해지 거부 및 위약금 관련 내용이 813건(68.4%)으로 가장 많았다. 이외에는 계약 불이행(232건, 195%), 청약철회(46건, 3.9%) 등 순이다.
지역에선 계약해제·해지 거부 및 위약금 관련이 36건(75.0%)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구체적으로는 소비자가 중도해지를 요구하면, 사업자가 자체 약관을 근거로 해지·환급을 거부하거나, 과다한 위약금을 청구하는 경우였다.
이에 도는 도내 결혼중개업체 20개소를 현장방문해 표준약관 사용 여부를 점거하는 한편, 계약서 작성 등 운영 전반에 대한 맞춤형 컨설팅을 추진했다. 이를 통해 약관에 환급 불가 조항이 포함돼 있거나, 개정 전 표준약관을 사용 중인 사업자에게 개선을 권고했다.
또 도는 각종 지역행사를 통해 결혼중개업 관려 피해 예방을 위한 캠페인 등도 적극 전개하는 등 도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나서고 있다.
최영숙 도 경제통상국장은 "결혼중개업 관련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해선 계약 전 사업자 정보 확인과 계약서의 거래조건 드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며 "앞으로도 사업자의 표준 약관 사용 이행실태 모니터링과 소비자 피해 예방 캠페인을 전개해 국내 결혼중개업 관련 소비자 피해 저감에 나서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